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北, 尹 대통령 첫 대북 구상에 일단 '맹비난' 응수..심화되는 경색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62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첫 대북 구상을 '허망된 망상'이라고 전면 거부하며 맹비난으로 응수했다. 윤 정부에 대한 적대감도 재차 드러내며 남북관계 경색은 계속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김 부부장은 19일 '허망한 꿈을 꾸지 말라'라는 제목의 담화를 통해 윤 대통령의 '담대한 구상'이 "실현과 동떨어진 어리석음의 극치"라며 전면 거부 의사를 밝혔다. 윤 대통령이 광복절 77주년과 취임 100일을 맞아 '담대한 구상'을 제안한 지 나흘 만에 나온 북한의 반응이다. 그는 "우선 '북이 비핵화 조치를 취한다면'이라는 가정부터가 잘못된 전제"라며 "우리의 '국체'인 핵을 '경제 협력'과 같은 물건 짝과 바꾸어보겠다는 발상"은 "꿈이고 희망"이라고 비난했다. '비핵화'는 남북이 논의할 의제가 아니며 경제협력과 맞바꾸는 수준의 비핵화 의사 역시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김 부부장은 이번 담화에서 윤 정부에 대한 수위 높은 적대감도 여과 없이 드러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이란 호칭도 없이 이름을 거론하며 "정녕 '대통령'으로 당선시킬 인물이 저 윤아무개밖에 없었는가?", "우리는 윤석열 그 인간자체가 싫다"라고 격한 언사로 감정적 비난을 가했다. 또 낮은 지지율을 비꼬듯 "가뜩이나 경제와 민생이 엉망진창이어서 어느 시각에 쫓겨날지도 모를 불안 속에 살겠다"라고 조롱하기도 했다. 담화 곳곳에는 앞으로 '담대한 구상'과 관련한 대화는 물론 남한과 한동안 '어떤 접촉' 자체도 하지 않을 것이란 의지도 엿보인다. 김 부부장은 "앞으로 또 무슨 요란한 구상을 해가지고 문을 두드리겠는지는 모르겠으나 우리는 절대로 상대해주지 않을 것이다", "제발 좀 서로 의식하지 말며 살았으면 하는 것이 간절한 소원이다"라고 강조했다. 이같은 모습은 북한이 올해 제시한 대남 '대적 투쟁' 기조에 따른 강경 행보의 연장선으로 분석된다. 이번 담화는 김정은 총비서가 지난달 27일 '전승절' 기념행사 연설에서 초강경 대남 메시지를 발신한 이후 북한의 대외 총괄인 김 부부장이 내놓은 첫 담화다. 김 총비서는 당시 처음으로 윤 대통령에 대한 강한 비난과 위협을 쏟아내며 일종의 대남 '대적 기조' 기준을 제시했는데 김 부부장은 지난 11일 비상방역총화회의 토론에 이어 이번 담화를 통해 이를 구체화하고 있다. 북한이 윤 정부와의 대화를 전면 거부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현재 내부적으로 대외 행보를 재개할 수요가 없다는 의미로도 추측된다. 남측의 행동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당을 중심으로 세운 대남 기조에 따라 일관되게 남북관계 경색을 심화하는 방향으로 행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북한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유입까지도 남측 탓으로 돌리는 것 역시 대화에 회의적인 북한의 입장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미국과 중국을 축으로 한 신냉전 구도가 한층 심화되는 국제 정세에 임하는 북한의 기조와 연계된 행보로도 볼 수 있다. 때문에 이번 경색 국면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보통 신정부 출범 후 대북정책이 구체화되기까지 비난의 빈도나 수위를 조절하기 마련인데, 현재 북한은 정부 출범 전부터 일관된 비난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면서 "새 정부에 대한 '기선제압용'이 아닌 한동안 지속될 대남 정책 기조로 판단된다"라고 말했다.

北, 尹 대통령 첫 대북 구상에 일단 '맹비난' 응수..심화되는 경색北, 尹 대통령 첫 대북 구상에 일단 '맹비난' 응수..심화되는 경색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