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스타트업 겨울' 실감나네..네이버·카카오 상반기 투자 '주춤'

울트라맨8

Lv 116

22.08.19

view_cnt

917

지난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해왔던 네이버와 카카오가 비교적 조용한 상반기를 보냈다. 네이버는 투자 금액 규모를 대폭 줄였고, 카카오는 아예 이렇다 할 투자 행보를 보여주지 않았다. 경기 침체로 전반적으로 위축된 스타트업 투자업계의 분위기와 유사하다. 양사 모두 외연 확장이 아닌 커머스·헬스케어 등 특정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에 나서는 모양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는 반기보고서 공시를 통해 올해 상반기 총 23개 타법인에 대한 출자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이들 양사가 약 70개 업체에 투자를 단행했던 것과 비교하면 규모가 소폭 줄었다. 네이버는 올해 21개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투자 내역을 살펴보면 국내 15곳, 해외 6곳으로 국내업체의 개수가 더 많지만, 투자 금액은 국내 약 233억원, 해외 약 214억원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네이버의 상반기 가장 큰 규모의 투자는 웹툰 영상화 제작 지원 법인 'NW미디어'(107억원) 신설이었다. 지난해에는 글로벌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에 약 6974억원, 온라인 팬 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컴퍼니'에 약 2119억원을 출자하는 등 투자 규모가 수천억 원 단위에 달했으나 올 상반기에는 이 정도 규모의 투자는 없었다. 네이버는 지난 한 해 동안 국내외 55개 업체에 약 2조2100억원을 투자한 바 있다. 네이버의 투자 상황으로 눈을 돌려보면 대부분 커머스, 콘텐츠 또는 AI(인공지능)·NFT(대체불가토큰) 등 신기술 개발 스타트업에 집중돼 있다. 가장 큰 규모의 국내 투자는 펫커머스 플랫폼인 '어바웃펫'에 100억원을 들인 것이었다. 이외에도 '온더룩'(5억원)·'그린앤그레이'(5억원)·'인테리어티쳐'(3억원) 등 패션·인테리어와 같은 커머스 플랫폼에 대한 투자가 이뤄졌다. 콘텐츠 관련 투자의 경우에는 NW미디어를 비롯해 '그리핀 게이밍 파트너스'(47억원), '메이크어스'(40억원) 등으로 비교적 많은 투자 금액이 투입됐다. 플랫폼·커머스가 네이버의 핵심 사업 분야인 만큼 투자를 이어나가는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서는 검색플랫폼과 커머스 중심으로 네이버의 견조한 탑라인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신기술 개발 스타트업의 경우에는 하나하나의 투자 금액은 비교적 크지 않으나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한 출자가 이뤄졌다. 투자 기업 명단을 살펴보면 ▲AI 솔루션 기업 '스퀴즈비츠'(7억원) ▲AI 마케팅 자동화 전문 기업 '유니드컴즈'(5억원) ▲NFT 콘텐츠 스타트업 '모드하우스'(5억원) ▲AI 기반 학습데이터 솔루션 개발 기업 '젠젠AI'(4억원) ▲NFT 자산 플랫폼 '컨택스츠아이오'(2억4000만원) ▲3D 모델링 기술 스타트업 '리빌더AI'(1억7000만원) 등이다. AI 스타트업 투자는 네이버가 무게를 두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네이버의 스타트업 양성조직 네이버 D2SF는 지난 2015년 출범 이후 AI 분야 스타트업 투자를 이어왔으며, 최근 스퀴즈비츠와 젠젠AI의 사업 내용을 직접 소개하는 자리를 갖기도 했다. 네이버는 상반기 투자가 집중된 커머스·콘텐츠·AI 등에 더해 헬스케어에 대해서도 조금씩 관심 보이고 있다. 네이버 D2SF는 최근 가지랩·프리딕티브 등 헬스케어 관련 스타트업에 신규 투자를 단행한 데 이어 향후 헬스케어 분야 투자 확대 가능성을 시사했다. 네이버가 전년보다 비교적 조용한 상반기 투자 행보를 보였다면, 카카오는 아예 '침묵' 수준에 가까웠다. 타법인 출자가 단 2곳에 그쳤고 그마저도 외부 기업 인수나 투자가 아닌 계열사·합작회사 설립이었다. 그간 카카오에 가해진 '문어발식 확장' 비판을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카카오는 외연 확장에 제동을 걸 뿐만 아니라 아예 올해 연말까지 계열사 30~40개를 줄이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카카오는 올 상반기 헬스케어 자회사인 카카오헬스케어에 1209억원, 복합문화시설 설립을 위해 서울시 등과 합작한 서울아레나에 80억원을 투자했다. 2021년 계열사와 외부업체를 포함해 15곳에 투자를 단행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스타트업 겨울' 실감나네..네이버·카카오 상반기 투자 '주춤'

'스타트업 겨울' 실감나네..네이버·카카오 상반기 투자 '주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이재용, 복권 후 첫 행보서 '제2 도약' 선언.."세상에 없는 기술로 미래 만들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복권 후 첫 공식 행보로 삼성 반도체의 발원지인 기흥캠퍼스를 찾아 새로운 도약을 선언했다. 반도체 초강대국 건설이란 청사진을 제시하며 본격적으로 '뉴(NEW) 삼성' 경영 행보에 시동을 건 것으로 풀이된다. 이 부회장은 19일 경기 용인시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열린 차세대 반도체 연구개발(R&D) 단지 기공식에서 "차세대뿐만 아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7
22.08.19
자유주제

'열혈강호' P2E게임 '저작권 분쟁'..골 깊어진 원작자-게임사 갈등

만화 '열혈강호' IP(지식재산권)를 활용한 '블록체인 게임'이 저작권 분쟁에 휩싸이며 원작자 측과 게임사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원작자 측과 도미너스게임즈는 원작자 동의없이 열혈강호 IP를 활용해 P2E(Play to Earn : 돈 버는 게임) 서비스를 하면 안 된다는 입장이다. 반면 룽투코리아는 열혈강호 모바일 사업권을 확보한 만큼 블록체인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4
22.08.19
자유주제

수십년 '벤츠에 집 23억 특혜'..세금까지 떼먹은 트럼프 최측근 최후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 중 한명으로 꼽히는 앨런 와이셀버그 트럼프그룹 전 최고재무책임자(CFO)가 18일(현지시간) 세금 사기 혐의 등을 모두 시인했다. 외신은 와이셀버그가 유죄를 인정함에 따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연루된 수많은 법적 문제들이 더욱 꼬이게 됐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워싱턴포스트(WP)·파이낸셜타임스(FT) 등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376
22.08.19
자유주제

"미중 기후변화 협력 중단, 양국간 보기드문 접점 사라져" WSJ

최근 중국이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과의 기후 변화 대화와 협력을 중단함으로써 양국간 보기 드문 긍정적인 접점이 사라졌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탄소배출 1·2위 국가(미중) 간 악화되는 관계 속에서 기후변화 대화는 보기 드물게 '긍정적인 접점(bright spot)'"이라면서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67
22.08.19
자유주제

홍콩 최대 규모 국가보안법 재판, 배심원 없이 열린다

47명이 기소된 홍콩 최대 규모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 보안법) 위반 사건의 재판이 배심원 없이 진행된다. 영국식 사법 문화가 바탕인 홍콩에서 배심원 없이 재판이 진행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19일 <홍콩프리프레스> 등 보도를 보면, 오는 9월부터 홍콩 법원에서 열리는 홍콩보안법 위반 사건의 재판이 배심원 없이 진행된다. 재판을 받는 이들은 47명으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6
22.08.19
자유주제

중국 지리車, 내년 전기차 판매 비중 50%로 확대

중국 최대 민영 자동차사 지리(吉利汽車)는 2023년 전체 판매량에서 전기자동차(EV)가 차지하는 비중을 50%로 확대한다고 동망(東網)과 신랑재경(新浪財經) 등이 19일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간자웨(淦家閱) 지리자동차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상반기 재무제표 발표 후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올해 하반기 월간 판매에서 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V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08
22.08.19
자유주제

이러다 중국 공장 다 멈춘다..비상 걸린 전 세계 기업들

중국에 닥친 기록적 폭염이 글로벌 공급망에 연쇄 타격을 입히고 있다. 폭염으로 전력난이 심각해지자 당국이 산업시설을 일시 폐쇄시키는 '계획 정전' 조치를 취하면서다. 18일 중국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쓰촨·충칭·저장성 등에 위치한 제조업체은 최근 일주일씩 조업을 중단하고 있다. 사실상 강제 휴업이다. 전력난에 시달리는 해당 지방정부들이 전력 사용 제한을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1
22.08.19
자유주제

우크라 곡물 수출 재개 보름..어디로 얼마나 갔나 보니

우크라이나가 흑해를 통해 곡물 수출을 재개한 지 보름이 지났으나 수출량이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전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흑해 곡물 수출 재개로 고조됐던 글로벌 식량 위기가 진정되고 고공행진하던 곡물가도 안정될 것이란 기대가 일었으나 아직은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곡물 수출을 위한 총괄 관리기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4
22.08.19
자유주제

"우크라군 크림반도 공격, 미국이 승인해줬다"-폴리티코

러시아가 불법 점령 중인 우크라이나 남부 크림반도 내 군사시설이 최근 주체가 불분명한 공격을 잇달아 받은 가운데,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크림반도 공격을 승인해줬다는 미국 언론 보도가 나와 주목된다. 미국은 크림반도를 우크라이나 주권이 미치는 영토로 간주, 자위적 방어 차원에서 공격을 승인해줬다는 것이다. 다만 우크라이나는 아직 러시아군에 손실을 안긴 크림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3
22.08.19
자유주제

한국→유럽→뉴질랜드..'러시안룰렛'처럼 떨어지는 물 폭탄

한국에 이어 폭염으로 몸살을 겪은 영국과 프랑스, 그리고 남반구의 뉴질랜드에서 잇따라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다. 장전된 총알이 어느 구멍에 있는지 모르는 채 방아쇠를 당기는 ‘러시안 룰렛’처럼 비구름은 지구촌 곳곳에 예상치 못한 물폭탄을 떨구고 있다. 18일(현지시간) AFP통신과 BBC방송 등에 따르면 전날 밤 프랑스 파리에 큰 비가 내려 지하철 역사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4
22.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