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원자력 인력 수요, 분야 별로 '제각각'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86

국내 원자력계가 건설·운영 분야에선 기계·전자 공학 인력, 안전·해체 분야에선 원자력·에너지 전공 인력을 더 필요로 하는 등 부문 별로 인력 수요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오태석 과기정통부 1차관은 이날 오후 윤석열 정부 들어 구성된 원자력정책발굴단의 첫 회의를 열고 다양한 원자력 지원 정책 및 연구개발 투자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원자력 관련 전문 인력 부족에 대한 문제가 집중 논의됐다. 특히 과기정통부는 한국원자력산업협회의 설문 조사 중간 분석을 통해 현재의 원자력업계 인력 부족 사태에 대해 이같이 진단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원자력산업협회가 지난달부터 이달까지 원자력업계 756개 기업을 대상으로 분야별 전문 인력 수요를 조사 중이다. 현재 101개 기업이 응답했다. 향후 5년간 분야별 전문인력 수요에 대해 이들 101개 기업들은 원전 설계·건설 분야의 경우 향후 5년간 총 695명의 인력을 필요로 하는데, 기계·설계 분야 159명, 전기·전자 분야 208명 등이 과반수를 차지했다. 이어 원자력 분야 240명, 에너지 등 분야갸 88명을 필요로 한다고 각각 답했다. 원전 운영·정비 분야에서도 기계·설계 403명, 전기·전자 256명으로 총 780명 중 659명을 필요로해 가장 많았다. 반면 원자력은 46명, 에너지 등 분야는 75명을 필요로 한다고 답했다. 미래 원자력 시스템 개발, 원자력·방사선 안전·해체 및 폐기물 관리 분야에서는 정반대였다. 미래 원자력 시스템 개발 분야에선 원자력 38명, 에너지 77명 등으로 전체 207명 중 115명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기계 설계 51명, 전기·전자 41명 등로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었다. 원자력 안전·해체 분야에서도 에너지 등 분야 302명, 원자력 분야 188명 등 총 682명 중 490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기계·설계 122명, 전기·전자 70명 등 다른 분야는 총 682명 중 192명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과기정통부는 "민간이 원자력 연구개발을 주도해야 전력 생산 외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원자력 활용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해 나갈 수 있다"면서 "기업이 원하는 인재가 충분히 공급되고 있는지 현장 상황을 정확히 파악해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맞춤형 인력 양성 전략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라고 설명했다.

원자력 인력 수요, 분야 별로 '제각각'원자력 인력 수요, 분야 별로 '제각각'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