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통화녹음하면 징역 10년.."그럼 갤럭시 안 쓰지" 삼전 타격 받나

울트라맨8

Lv 116

22.08.22

view_cnt

651

당사자 간의 통화나 대화 내용을 녹음할 시 참여자 전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됐다. 위반하면 1년 이상 10년 이하 징역형의 형사처벌도 받을 수 있다. 법안이 통과될 가능성은 낮지만 현실화될 경우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폰 등 통화녹음 기능이 탑재된 국내 관련 업체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 지난 18일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대표 발의한 '통신비밀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의 핵심은 '음성권 보장'이다. 동의 없는 통화·대화 녹음을 법으로 제재해 사생활과 통신 비밀의 자유를 보장하겠다는 것이다. 실제 캘리포니아를 비롯한 미국 10여개주와 프랑스 등에선 음성권 보장을 이유로 상대방 동의 없는 통화녹음이 불법이다. 반면 국내 통신비밀보호법은 제3자의 대화 녹음 또는 청취는 처벌 대상이지만 당사자 간 동의 없는 녹음은 처벌받지 않고 있다. 이번 개정안은 현행 법의 '녹음 또는 청취하지 못한다'를 '녹음 또는 청취하지 못하며, 대화 참여자는 대화 상대 모두의 동의 없이 대화를 녹음할 수 없다'로 개정하는 등의 조건을 포함했다. 이를 위반할 경우 대화 당사자까지 최대 10년의 징역형에 처한다. 이에 통화녹음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 등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반발이 커지고 있다. 갤럭시 스마트폰은 통화 중 상대방이 녹음 여부를 알 수 없고 자동 통화녹음도 가능하다. 반면 애플 아이폰은 미국을 포함해 한국에 출시되는 모든 제품에 통화녹음을 지원하지 않는다. 중국 샤오미 일부 제품과 구글 픽셀폰 등은 녹음은 되지만 상대방에게 녹음 여부 안내 메시지가 나온다. 업무상 통화녹음이 필요해 갤럭시 제품을 쓰는 이들도 적지 않다. 114만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한 삼성전자 스마트폰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법안 통과로 녹음 기능이 없어진다면 갤럭시 쓸 이유가 없다" "통화녹음은 일상생활에 없어선 안 될 부분"이라는 등의 반응이 나오고 있다.
통화녹음하면 징역 10년..'그럼 갤럭시 안 쓰지' 삼전 타격 받나

통화녹음하면 징역 10년..'그럼 갤럭시 안 쓰지' 삼전 타격 받나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여풍 소리 무색"..IT 업계도 예외 없는 女男 임금 격차, 왜?

한국 사회에서 고질적인 문제로 꼽히는 성별 임금 격차가 상대적으로 능력주의가 자리잡은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서도 예외는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네이버, 한글과컴퓨터 등 고위 관리직에 진출하는 여성 리더십이 주목받고 있지만 '남초'라는 꼬리표가 여전히 붙는 현장에서 '유리천장'은 아직도 견고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16일 공개된 국내 주요 IT 기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4
22.08.22
자유주제

'반도체 굴기' 외친 中, 공급과잉·출혈경쟁 가격 폭락

중국 정부가 미국의 제재에 맞서 ‘반도체 굴기’를 외쳤지만 오히려 공급과잉으로 반도체 가격이 폭락하는 상황에 놓였다. 미국 중심의 반도체 동맹인 ‘칩4’를 놓고 연일 공세를 펼치면서도 정작 자국 반도체 산업은 컨트롤이 혼란스러운 형국이다. 22일 관영 중국중앙방송(CCTV) 재경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서 등록된 반도체 칩 관련 기업은 41만6000개 이상이다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9
22.08.22
자유주제

데이팅앱서 사귄 코인 재벌, "투자 종목 찍어 주더니.." 돌변

연인 관계를 맺은 뒤 가상자산 투자를 유인하는 신종 로맨스캠(연애감정을 자극한 뒤 사기 대상으로 삼는 방식) 수법이 늘고 있다. 21일(현지시간) 비트코인닷컴 등에 따르면 미국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는 지난 18일 자사 '글로벌 조사·신뢰 및 안전 위협 정보 팀' 분석을 통해 "데이팅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 피해자를 유인하는 스캐머(Sc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92
22.08.22
자유주제

가격 그대로인데 '오늘만 핫딜'..합법과 기만 사이 '다크패턴'

# “운전자 ㄱ씨는 2020년 4월 차량공유 앱을 설치하고 100원 이벤트에 참여했다. 그 뒤 3개월 동안 1만4900원씩 자동결제가 됐는데, ㄱ씨는 서비스를 한 번도 이용하지 않았고 자동결제가 된다는 안내를 받은 적도 없다. 이용하지 않은 요금에 대해 환급을 요구했으나, 사업자는 철회 기간이 지났다고 환급을 거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이 지난해 6월 발간한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4
22.08.22
자유주제

디자인·그립감·접는폰 고유 기능은 대체로 만족스러운데, '발열'이 신경쓰이네

삼성전자 새 전략 스마트폰은 이른바 ‘접는(폴더블) 폰’이다. 이 폰으로 고가 스마트폰 시장을 키우고, 애플과 중국 업체들을 따돌리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삼성전자는 접는 폰으로 애플 생태계에 익숙진 아이폰 사용자 마음까지 사로잡을 수 있을까? 지난 10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공개) 2022’를 통해 공개된 삼성전자의 새 접는 스마트폰 ‘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0
22.08.22
자유주제

인플레·통일교 논란에 獨 숄츠, 日 기시다 지지율 역대 최저

주요7개국(G7)인 독일과 일본 정상의 지지율이 집권 이후 최저로 곤두박질 치고 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發) 에너지 위기, 치솟는 물가, 가뭄과 폭염의 이상 기후까지 복합적 위기가 닥친 가운데 충분한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해서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내각의 지지율은 통일교(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와 자민당의 관계에 대한 비판 여론으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9
22.08.22
자유주제

獨 숄츠, 주말 아침부터 '깜짝'..'상의 탈의' 시위대 때문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주말 오전부터 '상의 탈의' 시위대 때문에 봉변을 당했다. 21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이날 오전 베를린 총리 관저를 시민들에게 개방하는 행사 중 두 명의 여성 시위자들이 숄츠 총리 앞에서 상의를 탈의하고 가스 금수 조치를 요구했다. 이들은 가슴팍에 'GAS EMBARGO NOW(지금 가스 금수 조치를 하라)'는 문구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58
22.08.22
자유주제

美 인디애나 주지사 대만 방문..'대화' 말하던 美中, 다시 '시계 제로'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 이후 미국과 중국 간 군사-외교적 긴장이 최고점에 이르고 있는 가운데, 미국 상·하원 의원들에 이어 미국 인디애나 주지사가 대만을 방문하면서 양국 간 갈등에 새 뇌관이 되고 있다. 미·중 양국의 각국 주재 대사들이 대화를 통해 군사적 충돌이란 ‘비극’을 피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던 가운데 강행된 인디애나 주지사의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1
22.08.22
자유주제

"한미훈련, 北 겨냥뿐 아니라 中억제 위한 것..亞긴장 고조"-中관영지

후반기 한·미연합연습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가 22일 본연습에 들어가는 가운데 중국 언론은 이번 훈련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긴장 고조시킨다고 주장했다. 중국 환구시보 영문판 글로벌타임스는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미·중 관계가 더욱 격화한 상황에서 미국이 주도하는 이번 한·미 훈련은 북한을 겨냥했을 뿐 아니라 아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05
22.08.22
자유주제

우크라 전쟁 6개월, 세계경제를 수렁에 빠뜨리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지 6개월이 지나면서 세계경제에 드리워진 먹구름이 점점 짙어지고 있다. 지난 2년간 세계경제를 괴롭혀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에 전쟁이라는 변수까지 더해지면서 전 세계가 침체에 빠질 것이란 우울한 전망에 휩싸였다.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던 중국은 '제로 코로나 정책'을 추구하면서 강력한 봉쇄정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7
2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