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데카콘 기업 '몸집' 불린 비결 보니..많게는 58개 기업 삼켰다

울트라맨8

Lv 116

22.08.22

view_cnt

715

58회, 기업가치 16조원에 달하는 통합 비즈니스 관리 소프트웨어(SW) 전문업체 더액세스그룹(The access group)이 지금까지 시도한 기업 인수횟수다. 전 세계 데카콘 기업(기업가치 10조원 이상 비상장사) 67개사 중 빠른 비즈니스 확장을 위해 기업 M&A(인수·합병) 전략을 활용한 곳은 총 50개사(74.6%)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데카콘 탄생 주기도 눈에 띄게 짧아졌다. 데카콘 중 10개사가 5년이 채 되지 않아 10조원 대열에 들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22일 머니투데이 유니콘팩토리가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김선우 중소벤처기술혁신정책연구센터장 연구팀으로부터 입수한 '글로벌 데카콘기업 특징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데카콘 기업은 2019년 15개에 불과했으나 2021년 상반기 31개, 2022년 4월 기준 54개, 2022년 7월 기준 67개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데카콘 기업은 특히 핀테크 분야에서 20개사(29.85%)로 가장 많이 나왔다. 이외 인터넷 SW 및 서비스 분야가 12개사(17.91%), 이커머스 및 B2C 분야가 7개사(10.45%), 공급망 및 물류·배달 분야가 6개사(8.96%) 등이다. 김선우 센터장은 "핀테크 분야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는데 두나무, 토스 등 국내 혁신금융을 주도하는 스타트업들이 과연 규제 혁신 등 고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제대로 누리고 있는지를 검토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데카콘 67개사의 평균업력은 10.4년으로 이중 △홍콩에 본사를 둔 미국 가상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FTX(설립연도 2019년) △글로벌 크로스보더 HR SaaS (서비스형SW)업체 딜(Deel, 2018년) △아마존 등 마켓플레이스 입점 업체를 인수해 운영하는 트라시오(Thrasio, 2018년) 등 10개사는 5년이 채 되지 않아 10조원대에 들어섰다. 김 센터장은 "이번 분석을 통해 데카콘 기업이 되기까지의 기간이 상당히 짧아짐을 확인했다"며 '블리츠스케일링'(Blitzscaling) 전략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블리츠스케일링은 코로나19(COVID-19)와 같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엄청난 속도로 회사를 키워 압도적인 경쟁우위를 선점하는 고도성장 전략을 말한다. 기습 공격을 의미하는 '블리츠크리그'(Blitzkrieg)와 규모 확장을 뜻하는 '스케일업'(scale up)의 합성어다. 구글, 넷플릭스, 드롭박스, 링크드인, 샤오미 등도 이런 방식의 경영전략을 펼쳐왔다. 가장 짧은 업력은 FTX의 3년이다. FTX는 하루 평균 100억 달러(약 13조3770억원) 규모의 가상자산 파생상품을 거래하고 있다. 일본 소프트뱅크와 미국 실리콘밸리 유명 투자자인 세콰이아캐피털, 서드포인트 등이 투자했다. 반대로 가장 업력이 긴 곳은 중국 도소매업체 웨이룽(Weilong)으로 31년이다. 이들 기업이 몸집을 불리는 데 있어 공통된 핵심전략은 M&A인 것으로 파악됐다. 67개사 중 M&A를 한 기업은 50개사(74.6%)였으며, 7회 이상 M&A를 수행한 데카콘 기업은 8개로 집계됐다. 김 센터장은 "많은 데카콘 기업이 M&A 활동에도 적극적이며, 67개 데카콘기업 가운데 6개사는 자회사 중 2개사 이상을 상장시킨 기업으로, 스핀오프(spin-off·분사)를 통한 IPO(기업공개)도 꾸준히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데카콘 기업에 투자한 1위 투자사는 타이거 매니지먼트 글로벌로 총 15개 데카콘기업에 투자했다. 미국의 대형 벤처투자사인 앤더슨 호로위츠와 세콰이아캐피털도 각각 13개 데카콘기 업에 투자했다. 김 센터장은 "데카콘에 투자하는 투자사들 대부분 스타트업 초기단계부터 시작해서 이들의 단계별 후속투자 과정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부분이 주목된다"면서 "국내에서도 VC(벤처캐피털)들의 단계별 후속투자 연계 지원방안을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가장 많은 데카콘을 생산한 국가로 미국(37개, 55%)이 꼽혔다.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평가기관인 스타트업 지놈(Startup Genome)이 발표한 '스타트업하기 좋은 도시 톱10'에서 부동의 1위는 미국의 실리콘밸리였다. 이어 중국 13개(19%), 영국 6개(9%) 순이었다. 이밖에 스웨덴(2), 인도(2), 스웨덴(2), 인도네시아(1), 터키(1), 바하마(1), 독일(1), 오스트레일리아(1), 세이셀(1) 등 9개 국가에 데카콘기업이 있었다. 한편, 국내에선 쿠팡, 야놀자를 비롯해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 종합 금융플랫폼 토스를 운영중인 비바리퍼블리카 등이 데카콘에 위치했거나 입성을 앞둔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자료는 스타트업 정보 플랫폼인 크런치베이스, CB인사이트 등에서 인정한 데카콘기업 67개사 중심으로 분석이 이뤄져 국내 기업은 포함되지 않았다.
[단독]데카콘 기업 '몸집' 불린 비결 보니..많게는 58개 기업 삼켰다

[단독]데카콘 기업 '몸집' 불린 비결 보니..많게는 58개 기업 삼켰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트렁크 냄새, 볼트 구멍, 보닛 안쪽" 침수차 3분 구별법

◇ 이현웅 아나운서(이하 이현웅): 115년 만의 기록적 폭우에 서울과 수도권 일대가 마비되면서 뉴스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 장면이 바로 빗물에 잠겨 침수된 차량이었습니다. 이번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차량 접수만 해도 1만 2천여 건에 육박할 정도입니다. 여름이 지나면 중고차 시장에 침수차량이 대거 유통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박병일 자동차 명장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889
22.08.22
자유주제

아산시민 45% "차별 경험있다"..인권 의식 실태조사

충남 아산시민의 45%가 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산시인권센터가 지난 5월 18일부터 6월 3일까지 1416가구 만 13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인권 의식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지난 1년간 차별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44.9%로 조사됐다. 차별 경험 유형으로는 ‘고용 형태에 따른 차별’이 6.7%로 가장 높아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따른 차별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57
22.08.22
자유주제

양산시 행정타운 부지 최종 결정..신설 경찰서·소방서 입주

경남 양산시는 동부권에 신설되는 소방서, 경찰서가 동반 입주하는 행정타운 부지를 결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양산시 행정타운 부지조성사업 사업부지 재검토 위원회(이하 재검토 위원회)가 지난 18일 당초 '명동 1004-2번지' 일원이던 행정타운 부지를 '명동 1018번지' 일원으로 바꿨다. '명동 1018번지' 일원 부지면적은 약 2만㎡다. 재검토 위원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68
22.08.22
자유주제

"사진찍자"더니 웃옷 벗은 여성들, 독일총리 당황..대체 왜

러시아의 가스 공급 통제로 독일이 에너지 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돌발 시위에 직면했다. 21일(현지시각) 텔레그래프 등은 이날 오전 숄츠 총리가 베를린 총리 관저를 시민에게 개방하는 행사에서 여성 2명에게 사진을 함께 찍자는 요청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여성들은 숄츠 총리를 가운데 두고 양옆에 나란히 섰다. 이어 사진을 찍으려고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885
22.08.22
자유주제

美하원 외교위원장, 한일 관계 개선 촉구.."생산적 역할 준비돼"

그레고리 믹스 미국 하원외교위원장은 "활력있는 민주주의 국가이자 경제대국 미국의 동맹국인 한일의 관계 개선은 양국의 지역 전체에 혜택을 가져다준다"며 한일 관계 개선을 촉구했다. 믹스 위원장은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닛케이)와의 22일자 서면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중국, 북한에 대한 대처를 위해 한일 관계 개선을 촉구한 것이라고 신문은 분석했다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46
22.08.22
자유주제

5년간 32만명..강도 이틀에 1건, 성범죄 하루 3.8건

32만1940명. 지난 5년 동안 경찰에 검거된 미성년자의 수다. 하루 평균 176명을 웃도는 아이들이 범죄를 저질러 경찰에 체포된 셈이다. 22일 경찰청의 ‘2021 범죄통계’에 따르면 전국에서 검거된 범죄자 가운데 18세 이하 미성년자의 수는 2017년 7만2337명, 2018년 6만5784명, 2019년 6만5907명, 2020년 6만4152명, 2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2
22.08.22
자유주제

집중형 비대면 조사 전환..통계청 적극 행정 '최우수'

대면 조사 중심이었던 통계 조사의 '집중형 비대면 조사 전환'을 추진한 통계청 조사관리국 비대면조사팀의 이수복 주무관이 통계청 적극 행정 최우수 직원으로 꼽혔다. 통계청은 22일 제5차 적극행정위원회에서 선정한 2분기 적극 행정 우수직원 4명과 상반기 우수부서 1개 과에 포상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 주무관은 코로나19 등 대면조사 기반이었던 통계조사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40
22.08.22
자유주제

與 "보험산업 규제 혁신, 경쟁력 강화 나설 것"

국민의힘은 22일 보험업계, 손해보험업계의 규제개선 해법 마련을 위해 업계 의견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정책위원회는 이날 국회에서 '국민의힘 정책위-보험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 7월 금융투자업계 간담회에 이은 두 번째 금융권 정책간담회다. 국민의힘에서는 성일종 정책위의장을 비롯해 홍석준 규제개혁추진단장, 윤창현 디지털자산특위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084
22.08.22
자유주제

"폭우로 급류 휩쓸려 숨졌는데 피해 인정 못 받아"

기록적 폭우로 적지 않은 인명 사고가 난 가운데 급류에 휩쓸려 숨졌는데도 자연재해 인명피해자로 인정받지 못한 경우가 발생했다. 지난 9일 오전 1시께 경기 양평군 강상면 교평리에 살던 최모씨(58)가 하천에 빠져 숨졌다. 최씨는 하천 범람으로 집이 침수되자 80대 노모를 이끌고 피신하던 중 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물이 넘쳐흐르면서 농로와 하천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887
22.08.22
자유주제

과기정통부, 6G 주파수 조기 확보 박차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6세대(6G) 이동통신 주파수 조기 확보에 박차를 가한다. 국내 산·학·연이 연구 중인 다양한 6G 후보대역을 선제시하고, 글로벌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한다는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15일부터 20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제4차 아태지역 APG(WRC 준비그룹 회의)에 정부 및 산학연 전문가 총 55명이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번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65
2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