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문화재청 , 궁궐·왕릉 등 지속가능한 전통조경 보존 추진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10

문화재청이 4년간 지속 가능한 전통조경의 보전 계획을 추진한다. 문화재청이 24일 발표한 '제1차 전통조경 보존·관리·활용 기본계획(2022~2026)'에 따르면 ▲전통조경 정책기반 조성, ▲지속가능한 전통조경 보존관리, ▲전통조경 국제위상 제고 및 대국민 향유 등 3대 전략과 이에 따른 9개 핵심과제가 담겼다. 전통조경은 우리나라 고유 문화, 사고, 행위양식을 바탕으로 역사·문화·사상 등을 담아 수목 식재나 건축물·시설물 배치 등 전통 기법의 외부공간 조성을 뜻한다. 궁궐조경, 왕릉조경, 서원·향교조경, 민가조경, 사찰조경, 별서조경, 누·정·대 등이 이에 해당한다. 문화재청은 전통조경 정책기반 조성을 위해 여러 부처와 기관에서 혼용되는 전통조경의 개념을 정립했다. 이를 통해 전통조경의 정체성 확립, 설계 및 시공 제도 개선, 관리 기준과 범위 설정 등 문화재로서 전통조경의 영역을 공고히 할 예정이다. 가치 있는 전통조경 잠재자원 발굴 제도적 지원 범위 확장 세계유산 등 국제동향에 대응한 문화경관, 역사정원 등 주요 현안을 적극 수용할 방침이다. 전통조경 정책 및 실무 전문 인력 양성과 전통기법 보급을 지원한다. 또한 전통조경의 표준화된 보존관리 및 수리품질 향상을 위해 정비지침을 수립하고, 전통조경 보존관리 시방서와 표준품셈을 마련해 학계 및 업계, 관련 협회·단체에 보급한다. 전통조경 공간의 특성을 반영한 보수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례별 진단과 대응방안을 포함한 업무지침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동시에 전통조경 공간의 진정성을 파악할 수 있는 문헌자료를 집대성하고, 3차원 원형 데이터를 구축해 향후 디지털 복원, 보존관리 기초자료 제공, 실감형 콘텐츠 제작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최근 대두되는 기후변화 관련 전통조경 공간의 피해사례를 수집하고 선제 대응을 위한 안전관리 지침도 마련한다. 전통조경의 국내외 인식 향상을 위해 전통조경을 테마로 한 문화(역사적 이야기 발굴, 맞춤형 해설 프로그램 등)·산업 및 교육(재료, 구성, 시공기술 등)·지역자원(전통조경 브랜드화, 지역자원 활용 콘텐츠 공모 등) 콘텐츠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전시·체험·교육 공간을 마련해 전통조경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한다. 아울러 한국 전통조경 양식과 관련 있는 중국·일본과의 상호교류 및 비교분석, 국제 전통조경박람회 개최 및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통해 한국 전통조경만의 고유 특성을 도출하고 그 우수성을 대외적으로 확산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 궁궐·왕릉 등 지속가능한 전통조경 보존 추진문화재청 , 궁궐·왕릉 등 지속가능한 전통조경 보존 추진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