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몸값 3조' 일진머티리얼즈, 롯데 단독 협상중

울트라맨8

Lv 116

22.08.24

view_cnt

652

국내 2위 동박제조 기업인 일진머티리얼즈 인수전에 사실상 롯데케미칼이 단독 참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가로 약 3조원이 거론되는 빅딜로, 양측의 가격 협상이 딜 성사의 관건으로 주목된다. 2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일진머티리얼즈 매각주관사인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은 지난 19일 본입찰을 실시한 이후 현재 롯데케미칼과 가격협상을 진행 중이다.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 해외 전략적투자자(SI) 등은 본입찰 과정에서 한발 물러나며 사실상 롯데케미칼 단독 협상으로 전해졌다. IB업계 관계자는 “주요 인수 후보로 거론된 베인캐피탈은 일진머티리얼즈의 높은 밸류에이션, 금리인상 등으로 인한 자금 조달 문제 등으로 인수전에서 물러났다”며 “해외 SI의 경우 일진머티리얼즈의 성장성에 대한 관심은 높았지만, 높은 매각가에 추가 설비투자에 대한 부담 등으로 선을 긋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결국 일진머티리얼즈 인수전은 롯데케미칼이 얼마나 베팅할지에 따라 딜 성사 여부가 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는 FI 등과의 컨소시엄 구성없이 단독으로 본입찰에 참여하고 있어 딜 구조를 어떻게 짜는 지가 인수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롯데그룹은 케미칼 사업의 확대를 위해 꾸준히 인수합병(M&A)를 추진하고 있다. 앞서 글로벌 1위 폴리이미드(PI)업체인 PI첨단소재 인수전에도 뛰어들었으나, PEF 운용사인 베어링PEA에 밀려 고배를 마신 바 있다. 즉 롯데가 일진머티리얼즈에 대한 인수의지가 강할 경우 통 큰 베팅도 가능할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이렇게 롯데케미칼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 대형 블라인드펀드로 무장한 PEF 운용사 등 FI와의 협력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매각 대상은 허재명 일진머티리얼즈 사장이 보유한 지분 53.3%다. 매각 초반만 해도 일진머티리얼즈의 시가총액은 4조원이 훌쩍 넘었으며, 허 사장의 지분가치(2조원 중반)에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약 3조원에 몸값이 가능했다. 다만 최근 주가 약세로 일진머티리얼즈의 시총이 3조2000억원대까지 감소함에 따라 매각 측의 희망가격을 맞춰주기는 어려울 것이란 게 업계 중론이다. 그러나 일진그룹은 일진머티리얼즈에 대한 대규모 투자 확대로 그룹 전반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돼 알짜 계열사 매각에 나선 만큼 희망가격을 낮추는 것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롯데의 통 큰 베팅 외에도 매각 측이 얼마나 눈높이를 낮출 수 있는지도 매각 완주의 관전 포인트로 꼽히는 이유다. 일진머티리얼즈 매각으로 그룹 전반을 단번에 일으킬지, 일진디스플레이 등 다른 계열사 매각에 나설 지 오너일가의 판단이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단독]'몸값 3조' 일진머티리얼즈, 롯데 단독 협상중

[단독]'몸값 3조' 일진머티리얼즈, 롯데 단독 협상중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풍년인데 눈물 난다"..'쌀값 폭락' 애타는 농민들

풍년인데 눈물이 난다. 넘치는 재고로 쌀값 폭락이 이어지면서농민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애써 키운 벼를 갈아엎는 시위까지 벌이며 정부의 대책을 요구하고 있는데요. 어떤 상황인지, 정부에 바라는 건 뭔지, 핵심 관계자에게 들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조경희 전북 김제농민회장 연결돼있습니다. 회장님, 안녕하십니까? [조경희] 안녕하십니까. [앵커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4
22.08.24
자유주제

홀로 전신주에 올라 감전되고 떨어지고

7월4일 오전 9시40분,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에 위치한 청년임대주택 공사장에서 40대 남성 고 아무개씨가 추락해 사망했다. 고씨는 공사장 입구에 있는 16m 높이의 전신주에 올라 전선 철거 작업을 하던 중이었다.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전신주에 둘러맨 안전로프도 사고를 막아주진 못했다. 안전로프는 고씨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찢어져버렸다. 추락 직후 고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8
22.08.24
자유주제

조선일보 노조위원장이 이재명 의원 무고죄 소송에 나서려는 이유

박국희 조선일보 노조위원장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무고죄로 고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치인의 전략적 봉쇄소송에 경종을 울리겠다는 취지다. 이재명 대선캠프는 대선 기간 중 박국희 위원장이 쓴 2건의 기사를 '이재명 낙선을 목적으로 한 허위사실'로 규정하고 검찰·경찰 고발을 진행했고, 최근 무혐의 결정이 나왔다. 문제가 된 보도는 대장동 개발 특혜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1
22.08.24
자유주제

EU 공동연구센터 "유럽 47% 가뭄 상태..11월까지 지속될 수도"

올 여름 유럽을 강타한 극심한 가뭄이 오는 11월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유럽연합(EU) 공동연구센터(JRC)가 경고했다. JRC는 가뭄이 길어지면서 식량과 에너지 부족도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작물 수확량이 줄고 수력발전 차질은 물론 냉각수 부족에 따른 원전 가동도 차질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JRC는 이날 공개한 보고서에서 EU 지역의 47%가 가뭄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6
22.08.24
자유주제

올여름 英 코로나사망자 급증..전파력 큰 오미크론 하위변이 탓

전파력이 큰 오미크론 하위변이 영향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올여름 영국의 코로나19 사망자가 작년의 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에서는 오미크론 하위변이인 BA.4와 BA.5가 지배종이 된 올해 6월 8일 이후 현재까지 5천700명 이상이 코로나19로 사망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에 발생한 사망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364
22.08.24
자유주제

문화재청 , 궁궐·왕릉 등 지속가능한 전통조경 보존 추진

문화재청이 4년간 지속 가능한 전통조경의 보전 계획을 추진한다. 문화재청이 24일 발표한 '제1차 전통조경 보존·관리·활용 기본계획(2022~2026)'에 따르면 ▲전통조경 정책기반 조성, ▲지속가능한 전통조경 보존관리, ▲전통조경 국제위상 제고 및 대국민 향유 등 3대 전략과 이에 따른 9개 핵심과제가 담겼다. 전통조경은 우리나라 고유 문화, 사고,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1
22.08.24
자유주제

"항공사는 승무원 우주방사선 피폭 관리 방안 마련해야"

최근 근로복지공단이 ‘골수 형성이상 증후군’ 진단을 받은 아시아나 항공 승무원에 대해 우주 방사선 노출로 인한 산업재해를 인정했다. 앞서 대한항공에 이어 아시아나에서도 방사선 노출 산업재해가 인정되면서 국내 항공사들이 우주방사선 피폭 안전관리를 강화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 2013년 우주 방사선 피폭 관리를 규정한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이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14
22.08.24
자유주제

코스피 상승 출발해 2,450대 회복..코스닥 790대

코스피가 24일 상승 출발했다. 이날 오전 9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날보다 16.38포인트(0.67%) 오른 2,451.72다. 코스피는 전장보다 10.84포인트(0.45%) 오른 2,446.18에 출발한 뒤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수는 전날까지 5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이 620억원 순매수 중이다. 반면 기관과 외국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4
22.08.24
자유주제

"미중 제로섬 게임..원칙과 함께 전략적 유연성, 다자외교 역량 갖춰야"

윤석열 정부는 ‘경제는 중국, 안보는 미국'과 '전략적 모호성'이라는 외교기조에서 탈피하고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계와 밀착하는 선명성을 선택했다. 한미동맹 강화를 외교 최우선 가치에 두면서 이에 따른 대중국 정책은 선명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과거에는 양국이 서로의 발전을 위해 상이한 가치와 체제의 차이점을 수면위로 꺼내지 않으며 관계를 유지해왔으나 이제는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2
22.08.24
자유주제

"韓 전략적 가치 높아지는 상황 활용해 '새로운 30년' 기반 마련해야"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은 올해를 기점으로 양국 관계에 대한 새로운 방향과 속도 설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30년 동안 체제와 이념의 차이 속에 부침을 거듭하며 발전해 온 한·중 관계는 특히 최근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따른 칩4 동맹과 대만과의 협력 심화 등으로 불거지는 미·중 전략 경쟁구도 속에서 여러 가지 도전 요인에 직면해 쉽지 않은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9
22.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