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국민 50% "국민연금 개혁, 보험료 인상보다 수급 연령부터 올리자"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1,278

국민들은 국민연금 개혁 방향으로 보험료 인상·소득대체율 인하보다 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나이를 올리는 쪽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월 소득 9%인 보험료율을 10% 이상으로 높이는 데 찬성하는 국민은 절반이 되지 않았다.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가 24일 공개한 국민연금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연금을 개혁한다면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하는 항목’을 묻자 50%는 ‘수급개시 연령 상향’이라고 답했다. ‘월 보험료율 인상’은 27%, ‘소득대체율 인하’는 23%였다. 이 조사는 지난 7월15~18일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는 윤석열 정부가 보험료율 인상에 초점을 두고 있는 국민연금 개혁 방안과 차이가 있다. 정부는 현재 보험료율(9%)과 소득대체율(목표치 40%)을 조정하는 이른바 ‘모수개혁’을 구상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재정을 점검하고 내년 중 세부 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대통령실은 개혁 방향을 “더 내고 덜 받거나, 아주 많이 내고 조금 더 받거나”(지난 2일 안상훈 사회수석비서관)로 정리한 바 있다. 보험료율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인식을 보인 셈이다. 하지만 국민 절반은 보험료율 인상, 소득대체율 인하보다 연금 수급개시 연령 상향을 선호했다. 현재는 만 62세부터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다. 2013년 60세에서 5년마다 1세씩 늘리도록 개편해 2033년이 되면 수급개시 연령이 65세가 된다. 응답자의 87%는 ‘최근 저출산·고령화 문제로 인해 국민연금 고갈 예상 시기가 앞당겨지면서 개혁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개혁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필요하다’고 답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7%였고, 나머지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국민연금 고갈 문제로 인해 월 보험료를 인상하면 몇 %까지 납후할 의향이 있느냐’고 물었을 때 절반 이상(56%)는 ‘10% 미만’을 꼽았다. ‘10~11%’는 25%, ‘11~12%’는 9%, ‘12~13%’는 4%, ‘13% 이상’은 6%였다. 응답자의 66%는 현재 보험료율 9%가 ‘부담된다’고 답했다. ‘부담되지 않는다’는 27%였다. 월 보험료 개혁을 할 경우를 가정해 개편 방향을 ‘더 내고 더 받겠다’와 ‘덜 내고 덜 받겠다’ 등 두 가지로 물었을 때는 각각 55%, 45%를 차지했다. 소득이 많을수록, 또 연령대가 높을수록 ‘더 내고 더 받겠다’를 택하는 비율이 높았다. 순재산 5000만원 미만 46%, 5000만~2억원 미만 53%, 2억~4억원 미만 61%, 4억원 이상 69%였다. 18~29세 43%, 30대 38%, 40대 45%, 50대 58%, 60대 이상 75%였다. ‘국민연금 개혁을 위한 사회적 대화가 현재 우리 사회에서 어느 정도인가’를 묻자 64%는 ‘부족하다’고 답했다. ‘보통이다’는 31%, ‘잘 이뤄지고 있다’는 6%였다. 이 조사는 웹조사(휴대전화 문자메시지와 e메일로 조사 URL 발송) 방식으로 실시됐다. 95% 신뢰수준에 최대허용 표집오차는 ±3.1%포인트이다.

국민 50% '국민연금 개혁, 보험료 인상보다 수급 연령부터 올리자'국민 50% '국민연금 개혁, 보험료 인상보다 수급 연령부터 올리자'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