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미래먹거리 車 전장서 맞붙은 LG·삼성.. 성장세 탄 LG, 제동 걸린 삼성

울트라맨8

Lv 116

22.08.24

view_cnt

873

삼성전자 자동차 전자장비(전장) 자회사 하만이 시장점유율 하락과 실적 둔화에 몰렸다. 사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여러 소속 법인을 정리했지만, 미봉책에 그쳤다는 평가다. 뚜렷한 효과가 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반면 LG전자는 전장을 맡고 있는 VS사업본부가 예상을 뛰어넘는 호실적으로 상반기 흑자전환에 성공, 본격적인 기지개를 켜고 있다. 전장을 미래먹거리로 삼고 있는 두 회사의 분위기가 엇갈리고 있다. 24일 삼성전자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하만은 자동차 디지털 콕핏(디지털화된 자동차 운전 공간) 시장 상반기 24.8%의 점유율을 기록, 세계 1위를 기록했다. 다만 이 시장에서 하만은 시장 점유율이 지난 2020년(연간) 27.5%, 지난해에는 연간 25.3%로 꾸준히 하락 중이다. 하만의 상반기 매출은 5조649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조7867억원에 비해 늘었다. 디지털콕핏의 상반기 생산대수가 342만6000대에서 395만2000대로 늘어난 덕분이다. 하지만 공장 가동률은 지난해 83.1%에서 68.6%로 줄었다. 원재료 비용도 지난해 상반기 2조8710억원에서 올해 3조6123억원으로 높아져 수익에 부담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하만의 영업이익은 삼성이 인수하기 직전인 2016년 6800억원을 기록했으나, 인수 첫해인 2017년 574억원으로 급락했다. 이듬해인 2018년 1617억원, 2019년 3223억원으로 성장세를 보였다. 다만 2020년 코로나19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555억원으로 다시 크게 위축됐으며, 지난해에는 6000억원으로 인수 이후 최고 실적을 썼다. 수익성 개선에 역량을 집중한 하만이지만, 올해 성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증권가는 올해 연간 영업이익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밑돌 것으로 예측한다. 110여개에 달했던 자회사를 정리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한 셈이다. 다만 하만 역시 최근 굵직한 고객사를 확보하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최근 도요타와 5세대 이동통신(5G) 탤래매틱스 공급 계약을 체결한 것이 대표적이다. 계약 규모는 1000억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앞서 지난해에도 BMW와 전기차 5G 텔레매틱스 공급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전장 분야 추가 인수합병(M&A) 가능성을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하만을 통해 지난해 3월 미국 자동차-사물간통신(V2X) 기업 ‘사바리’, 올해 2월 독일 헤드업디스플레이(HUD) 소프트웨어 기업 ‘아포스테라’를 인수했다. 업계 관계자는 “적극적인 M&A를 통해 단점을 보완하고 수익성을 늘려 시장지배력을 더욱 높이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고 했다.
미래먹거리 車 전장서 맞붙은 LG·삼성.. 성장세 탄 LG, 제동 걸린 삼성

미래먹거리 車 전장서 맞붙은 LG·삼성.. 성장세 탄 LG, 제동 걸린 삼성

사이트 방문

댓글

1

대유안대유

Lv 95
22.08.24

삼성 ㅠㅠ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암세포 굶겨 죽이는 독보적 물질 확보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제약·바이오 산업의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급성장세를 거듭하는 제약·바이오 산업은 자동차, 반도체 등에 이어 한국의 차세대 미래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것이 확실시된다. 이데일리의 제약·바이오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팜이데일리’에서는 한국을 이끌어 갈 K제약바이오 대표주자들을 만나봤다. 이번 주자는 세계 최초 간암 대사항암제를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886
22.08.24
자유주제

한국 개미들, 테슬라 큰손 됐다..주식 20조원 보유

일론 머스크의 한국 팬들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테슬라 주식을 대거 매입하면서 투자 규모가이 150억 달러(약20조원)를 넘어섰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4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한국 개미들의 테슬라 투자 규모는 래리 엘리슨이나 미국 자산운용사 T로우프라이스 지분(1.4%)과 비슷한 수준이다. 특히 한국인들은 테슬라 주가가 떨어지면 저가매수에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66
22.08.24
자유주제

반도체식 가스센서 실용화 앞당길 기술 나왔다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가스센서로 꼽히는 반도체식 가스센서의 단점을 해결했다. 습기로 인한 감도 하락 문제를 해결하고 여러 가스가 함께 섞여 있어도 20ppb(물질의 농도 단위로 1ppb는 10억 분의 1)급 미량의 가스까지 감지하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반도체식 가스센서가 실용화에 가까워졌다는 기대가 나온다. 정영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능성소재부품연구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387
22.08.24
자유주제

국내 연구진 "비타민D 부족하면 수면장애 유발"

국내 연구진이 비타민D가 부족하면 수면장애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불면증과 만성피로 등에 대처할 새로운 방법을 찾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김태 교수와 유승영 석·박통합과정생, 전이선 카이스트(KAIST) 석·박통합과정생 등으로 구성된 연구진은 비타민D가 칼슘의 체내 농도를 조절해 수면의 질을 좌우할 수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1,112
22.08.24
자유주제

"6G 주도권 잡는다"..과기정통부, 차세대 네트워크 발전 공청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6세대 이동통신(6G) 차세대 네트워크 산업 발전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25일 '차세대 네트워크(6G) 산업 기술 개발(R&D)' 기획안에 대해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공청회를 통해 과기정통부는 차세대 네트워크 개발 사업에 대해 산·학·연의 관심과 협력을 유도하고 기획안을 보완해 오는 9월 예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62
22.08.24
자유주제

트위터 "지난 10년간 전 세계 K콘텐츠 트윗양 6.5배로 증가"

지난 10여년간 한국 드라마와 영화 등 'K콘텐츠'와 관련한 트윗양(量)이 6.5배나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트위터에 따르면 이 회사의 김연정 글로벌 K팝&K콘텐츠 파트너십 총괄 상무는 전날 서울 강남구 삼성동 인터콘티넨털 코엑스에서 열린 '컨텐츠 마케팅 서밋 2022'(CMS 2022)에서 "2011년 7월과 비교해 올해 6월 K콘텐츠 트윗양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920
22.08.24
자유주제

"골칫거리 폐플라스틱의 재발견"..수소에너지 원료 뽑아낸다

국내 연구진이 폐플라스틱에서 수소, 화학원료 생산이 가능한 가스화 기술 국산화에 성공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청정연료연구실 라호원 박사 연구진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가스화해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공정기술을 개발하고 한화건설에 기술이전했다고 24일 밝혔다. 그동안 활용처가 제한적이었던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활용해 수소, 일산화탄소 등 고부가 화학원료로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9
22.08.24
자유주제

"예수님 회개" 포항 고양이 학대살해범, 징역 3년 구형

검찰이 경북 포항에서 고양이 10여마리를 잔혹하게 살해하고 학대한 혐의를 받는 30대 남성에 대해 징역 3년을 구형했다. 24일 대구지법 포항지원 제1호법정에서 김배현 판사 심리로 동물보호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A(32)씨에 대한 공판이 열렸다. A씨는 지난 첫 공판에서 사선 변호인을 선임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이날 국선 변호인과 재판을 진행했다. 동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914
22.08.24
자유주제

정기석 "개량백신 9월 허가날듯"..집단면역 가능성 시사

방역당국은 3년만의 '사회적 거리두기' 없는 첫 추석을 앞두고 감염취약시설에 대한 방역을 강화하겠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코로나19 확진자 중 60세 이상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집단 감염의 건당 확진자도 많아졌다면서 요양원 등 감염취약시설 비접촉 면회만 허용하는 현행 규제를 유지하고 시설 자체의 대응 역량을 더욱 강화하겠다고도 했다. 아울러 개량백신을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1,113
22.08.24
자유주제

붕괴한 암호화폐 시장 구세주 자처하는 30살의 CEO

암호화폐 시장이 붕괴하면서 암호화폐의 미래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는 지금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CEO가 암호화폐 시장 회복을 위해 10억 달러를 투자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X CEO 샘 뱅크먼프리드가 암호화폐 산업의 구세주를 자임하고 나섰다. 올 들어 암호화폐 대부회사를 긴급구제했고 다

울트라맨8|22.08.24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874
22.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