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가스프롬과 협상 의지 밝힌 불가리아, 대러 제재 구멍 되나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88

과도정부가 들어선 불가리아가 전임 정부의 반(反)러 정책에서 유턴해 대(對)러시아 제재의 구멍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불가리아는 지난해만 3번의 총선을 치렀고, 오는 10월에 또 조기 총선을 앞두고 있다. 지난 6월 붕괴한 키릴 페트코프 전 총리 내각은 우크라이나 사태 발발 이후 친서방 행보를 취했다. 비록 6개월 단명 총리에 그쳤으나 집권 중에는 자유주의적 성향으로 전통적 우방인 러시아와 거리 두기에 나섰다. 오는 10월2일 조기 총선이 예정된 가운데 현재 임시 정부는 갈랍 도네프 전 노동부 장관이 임시 총리로서 이끌고 있다. 도네프를 총리로 지명한 루멘 라데프 불가리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에 반대한 친러 성향이다. 이 때문에 불가리아가 전통적인 러시아 우방국으로 회귀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고 23일(현지시간) 폴리티코 유럽판이 보도했다. 가장 큰 명분은 에너지난이다. 불가리아는 지난 4월 러시아 국영가스회사 가스프롬으로부터 공급 중단 통보를 받았다. 러시아 통화인 루블화로 천연가스 대금을 결제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전날 로젠 흐리스토브 에너지 장관은 불가리아의 가스 공급이 9월까지는 괜찮지만 이후부터는 차질이 생긴다며 가스프롬과 협상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천연가스 공급 재개를 위해 가스프롬과 협상은 불가피하다”고 했다. 동시에 “페트코프 전 총리가 러시아와의 관계를 악화시켜 향후 협상을 매우 어렵게 만들었다”며 전 정권에 책임을 돌렸다. 페트코프 전 총리는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이례적으로 러시아를 등졌다.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이긴 하지만, 전통적으로 러시아 우방국으로 여겨졌던 불가리아는 러시아 외교관 70명을 추방하는 단호한 조처를 했다. 폴리티코는 페트코프 전 총리 내각이 지난 6월 불신임으로 붕괴한 뒤 과도정부가 10월2일 조기 총선을 앞두고 러시아와 관계 개선을 노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임시 총리를 임명한 라데프 대통령은 공군 사령관 출신의 친러시아 성향이다. 라데프 대통령은 러시아 외교관 70명이 추방된 데 대해 “전례 없는 외교관 추방이 에너지, 경제, 그리고 우리 국민을 위험에 빠트렸다”고 지적한 바 있다. 과도정부와 가스프롬 간 협상이 긍정적인 결과를 낼지는 미지수다. 불가리아 싱크탱크인 자유주의전략센터의 다니엘 스밀로프 정치분석가는 “가스프롬이 뚜렷한 명분 없이 여러 나라에 가스 공급을 중단한 상황에서 가스프롬을 신뢰할 만한 사업 파트너로 여기는 것 자체가 상당히 우스꽝스러운 일”이라며 “정부는 선거 전에 (러시아를 둘러싼) 여론을 반전시키려 하고 있다”고 밝혔다. 라데프 대통령이 발표한 ‘과도정부의 우선순위’도 이런 우려를 뒷받침한다. 그가 발표한 우선순위에는 ‘분쟁에 대한 국가의 개입을 막는 것’이 포함됐다. 폴리티코는 “부연 설명은 없었지만, 이를 포함해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최근 그의 발언은 그의 동정심이 어디를 향해 있는지를 더 의심하게 한다”고 꼬집었다.

가스프롬과 협상 의지 밝힌 불가리아, 대러 제재 구멍 되나가스프롬과 협상 의지 밝힌 불가리아, 대러 제재 구멍 되나

댓글 1

대유안대유Lv 95

헐 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