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러 사할린-2 운영사, 아시아 고객 LNG 수송 중단"

울트라맨8

Lv 116

22.08.25

view_cnt

711

러시아 극동 에너지 개발 사업인 '사할린-2' 프로젝트 새 운영회사가 대금 지급 문제 등으로 아시아 지역 고객에 대한 액화천연가스(LNG) 운송을 중단했다고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최근 사할린-2 새 운영자 '사할린 에너지'가 변경된 계약에 대한 서명 지연과 대금 지급 문제 등을 이유로 아시아 지역 고객에 대한 LNG 운송을 취소했다고 전했다. 기존 프로젝트 운영자의 모든 권리와 자산 등을 인수한 사할린 에너지는 사할린주 주도(州都)인 유즈노사할린스크에 법인 등록을 했으며, 지난 19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또 기존 LNG 구매자들에게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고 구매대금은 러시아 은행 계좌로 지불하도록 요청했다. 러시아 타스 통신에 따르면 사할린 에너지는 운영 개시일 당일 일본 도쿄가스와 도쿄전력홀딩스·주부전력이 출자한 JERA 등 2곳과 LNG 구매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할린 에너지는 또 계약 전날 구매자들에게 미국 달러 외 다른 통화로 구매대금을 지불할 것을 요구했다. 블룸버그는 천연가스 운송 차질은 치솟는 전기 요금과 높은 인플레이션에 어려움을 겪는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에너지 공급 위기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의 에너지 부문 애널리스트 사울 카보닉은 "사할린-2 프로젝트가 없으면 겨울로 접어들면서 아시아와 유럽 간 가스 쟁탈전이 심화해 LNG 가격이 전례 없는 수준에 이를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6월 30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사할린-2 프로젝트 운영을 책임질 새 러시아 법인을 만들기 위한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새 법인 전체 지분 가운데 '50%+1주'는 러시아 국영 가스회사 가스프롬이 갖고 있다. 나머지 지분은 기존 사할린-2 투자자들인 영국 석유기업 셸(27.5%), 일본 미쓰이물산(12.5%), 미쓰비시상사(10%) 등이 인수를 요청하기 전까지 새 법인이 보유한다. 기존 외국인 투자자들은 새 법인 설립 후 한 달 이내에 지분 인수를 요청해야 하며, 러시아 정부가 가능 여부를 승인할 방침이다.
'러 사할린-2 운영사, 아시아 고객 LNG 수송 중단'

'러 사할린-2 운영사, 아시아 고객 LNG 수송 중단'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전세대출 영끌투자라더니.. 올해도 증가세 계속

올해 들어 금리 상승으로 가계대출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세대출은 상승세가 크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 2년간 전셋값이 상승한 것이 전세계약연장과 함께 반영되면서 대출이 늘어나는 것으로, 전세입자의 금리 부담 가중이 우려된다. 25일 주택금융공사(주금공)에 따르면, 올해(이하 1~6월 기준) 주택금융신용보증기금의 전세보증공급액은 28조617억원으로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0
22.08.25
자유주제

백악관·법무부 '교감' 있었나.. 바이든 "전혀, 제로" 일축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최근 연방수사국(FBI)에 의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압수수색을 착수 전부터 알고 있었느냐는 물음에 내놓은 답변이다. 야당인 공화당, 그리고 트럼프를 지지하는 보수 진영에서 급속히 퍼지고 있는 ‘백악관·법무부 교감설’을 부인한 것이다. FBI는 연방검찰과 나란히 법무부의 지휘를 받으며 법무장관(검찰총장)은 대통령을 보좌하는 내각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44
22.08.25
자유주제

미국인 53% "러시아 완전 철군 때까지 우크라 지원해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6개월이 지났다. 미국인 절반 이상이 우크라이나 지원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로이터통신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가 공동으로 지난 16∼17일 미국 성인 100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3%는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에서 완전 철수할 때까지 미국이 우크라이나를 지원해야 한다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0
22.08.25
자유주제

북한, 중러 상대 '제재 위반' 상품 판매 정황..유엔 "조사나설 것"

북한산 수산물이 온라인에서 유통되고 있는 정황이 포착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단이 조사에 나설 예정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25일 보도했다. RFA는 북한과 중국, 러시아 3국간 전자상거래(KCRECA) 웹사이트에서 판매 중인 북한산 수산물은 대게와 문어, 조개 등 46종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영어 등 3개국어로 상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13
22.08.25
자유주제

원·달러 환율, 금통위 앞두고 이틀째 하락세..1330원대

원·달러 환율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이틀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전 9시26분 현재 전 거래일(1342.1원)보다 2.6원 내린 1339.5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0.6원 하락한 1341.5원으로 출발했다. 달러화 가치는 상승 탄력이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주요 6개국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4
22.08.25
자유주제

기아 EV6 또 '극한질주', 이번에는 5일·120시간·유럽 15개국·5800km 도전

내연기관 대비 짧은 주행 거리가 약점으로 지적되는 전기차가 장거리에 도전하며 기록 경쟁을 하고 있다. 최근 포르쉐 타이칸이 24시간 동안 7번 충전을 하고 1929km 달리며 유럽 14개국을 방문하는 기록을 세운데 이어 기아 EV6는 더 극한 상황에 도전장을 내밀었다.ㆍ 기아는 24일(현지시각), 순수 전기차 EV6를 몰고 5일간 120시간을 달려 유럽

GoFoward|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38
22.08.25
자유주제

리비안 왜 이러나.. 3월 이어 두 번째 가격 인상

미국 전기차 회사 리비안이 최근 픽업트럭 R1T의 최저가 트림을 취소하여 고객이 구매할 수 있는 최저 가격을 사실상 5500달러 인상했다. 리비안의 이메일에 따르면 67,500달러에서 시작하는 최저가 모델인 "익스플로러" 트림을 취소했고, 73,000달러의 "어드벤처" 트림으로 업그레이드 하거나 주문을 취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리비안은 또한 올해 말

GoFoward|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2
view-count888
22.08.25
자유주제

車업계 "IRA로 매년 전기차 10만대 수출 차질..美와 같은 혜택줘야

국내 자동차산업계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발효로 매년 10만여대의 전기차 수출 차질 발생이 예상된다며 미국 정부에 한국산 전기자동차도 미국산 전기차와 동등한 세제 혜택을 줄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국내 자동차산업계는 한국 국회와 정부도 미국의 법안 개정을 위해 기존의 협상 노력을 더욱 강화하는 동시에 국내에서 전기차 보조금 제도 개편과 전기차 수출보조금

GoFoward|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4
22.08.25
자유주제

현대차·기아 노조 "美 전기차 생산 반대하지 않는다"

현대자동차와 기아 노조가 미국에서 전기차 생산 물량을 늘리는데 반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가 지난 17일부터 미국에서 최종 조립·생산된 전기차에만 구매보조금 7500달러를 지급하는 내용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시행함에 따라 국내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아이오닉5와 EV6가 보조금에서 제외되자 노조가 전환적인 자세를 취한 것이다. 25일 현대

GoFoward|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2
22.08.25
자유주제

[인물] 현대차. 제네시스 美 브랜드 전략 이끄는 '떠오르는 스타' 케이트 파비안이사

현대자동차가 올해 미국에서 사상 처음으로 TOP5에 올랐다. 세계에서 경쟁이 가장 치열한 미국시장은 제너럴모터스(GM), 토요타, 포드자동차, 스텔란티스, 르노닛산, 혼다차, 현대기아가 ‘TOP7’으로 손꼽히는데 올해는 현대기아가 르노닛산과 혼다를 제치고 처음으로 TOP5에 진입했다. 현대자동차(제네시스 포함).기아의 올 1-7월 미국시장 판매량은 차량

GoFoward|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1
2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