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외교부 "美전기차 보조금 해결, 당분간 쉽지 않아..문제제기 계속"

울트라맨8

Lv 116

22.08.25

view_cnt

879

외교부가 25일 미국 내에서 조립되지 않는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the Inflation Reduction Act)이 시행되는 데 대해 "국제통상법상 위반 요소가 있음에도 당분간은 (당장 해결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미국 행정부와 의회를 접촉해 최대한 법 집행에 있어서 유연성을 발휘해달라고 얘기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민주당이 주도한 해당 법안은 올해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상·하원 투표부터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까지 8월 중 약 열흘 동안 속전속결로 진행됐다. 법안이 기후변화 대응, 중산층의 생활 안정화 등도 다루고 있는 만큼 미국 내 상당한 지지 여론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외교부는 중간선거 전까지는 미국 측이 움직일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외교부는 법안에서 '북미에서 최종 조립되는 전기차만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는 부분은 명확한 만큼 유연성을 발휘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다만 배터리 부품과 핵심광물 사용 요건의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지지 않아 앞으로 우리 기업에 유리한 방향으로 노력해나간다는 입장이다. 당국자는 "저희가 산업부, 현대 기아차 등 업계와 긴밀하게 협의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이 제대로 된 대우를 받게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WTO 제소와 관련해선 "좀 기다려봐야 한다. 해당되는 부서에서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며 확답은 피했다. 외교부는 '정부가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비판에 대해선 아쉽다는 반응을 보였다. 법안이 유례 없이 빠르게 처리된 점을 고려해야 하고, 정부에선 매 단계마다 상황 파악 후 문제제기는 지속해왔다는 설명이다. 이 당국자는 8월 내내 장관과 실국장 등이 미국 측에 문제를 제기했고, 현지에서도 주미 대사 측이 미 의회를 통해 항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외교부는 이날 방한하는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에게도 해당 법안이 우리 측 기업에 미칠 영향을 적극적으로 설명할 계획이다.
외교부 '美전기차 보조금 해결, 당분간 쉽지 않아..문제제기 계속'

외교부 '美전기차 보조금 해결, 당분간 쉽지 않아..문제제기 계속'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반격은 공격받은 후에 가능"..일본 방위력 강화 놓고 여당 내 딴 목소리

선제공격 논란이 있는 ‘반격 능력(적 기지 공격 능력)’ 보유와 관련해 일본 연립여당인 자민당과 공명당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자민당은 상대방이 공격할 것이 확실시되면 미사일 기지 등을 공격해 무력화해야 한다고 보는 반면, ‘평화의 당’을 표방하는 공명당은 “반격은 적의 공격을 받은 후에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일본 정부가 5년 내 방위력을 획기적으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99
22.08.25
HOT
자유주제

신형 그랜저 스파이샷 보고가세요~~

마침(?) 현행 그랜저랑 같이 찍혔습니다 원근법 감안하고 보더라도 훨씬 커보이죠?

thumbnail
|22.08.25
like-count11
commnet-count15
view-count2,580
22.08.25
자유주제

IMF 이후 못보던 물가 온다..한은 "올해 5.2%..연말도 5%대"

한국은행이 올해 소비자물가 전망치로 종전의 4.5%보다 대폭 오른 5.2%를 제시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8월 물가상승률은 7월(6.3%)보다 낮아지면서 6%를 하회할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했다. 뒤이어 9~10월에는 폭우와 추석이 겹쳐 6% 근처로 오른 뒤 연말까지 5%대로 떨어지는 흐름을 나타낼 것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63
22.08.25
자유주제

호주 뒤덮은 토끼 2억마리.."160년전 외래종 24마리가 번식"

영국에서 태어나 식민지 호주에 정착한 목축업자 토머스 오스틴은 1859년 모국에서 토끼 24마리를 사냥용으로 들여왔다. 멜버른 땅에 풀어놓은 토끼들은 3년 만에 수천 마리로 불어나며 엄청난 속도로 번식을 이어갔고, 160여 년이 지난 현재는 호주에 서식하는 야생토끼 개체 수가 약 2억 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24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에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49
22.08.25
자유주제

유광욱 청주시의원 "최근 발생한 복대동 침수피해 청주시 책임"

충북 청주시에서 최근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가 청주시의 책임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청주시의회 유광욱 의원은 25일 열린 72회 임시회 1차 본회의의 5분 자유발언에서 "2017년 수해 이후 수해백서 발간 등 침수피해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천명했으나 또다시 5년 전 악몽을 떠오르게 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10일부터 일주일간 흥덕구 복대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46
22.08.25
자유주제

"이승의 외로움, 아픔 놓고 편히 가소서"..'수원 세모녀' 추모의식 거행

병환과 생활고를 견디다 못해 안타깝게 세상을 등진 '수원 세모녀'의 명복을 빌기위한 추모의식이 25일 거행됐다. 경기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에 위치한 수원중앙병원 내 특실에 마련된 '수원 세모녀' 빈소에서 이날 오후 2시부터 원불교 경기인천교구가 거행하는 추모의식이 진행됐다. 추모의식에는 이기일 보건복지부 2차관, 이재준 수원특례시장, 복지부 및 시 관계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883
22.08.25
자유주제

레미콘사 "가격인상 철회하라" vs 시멘트사 "인상 불가피"

대형 시멘트 업체들이 시멘트 가격 인상을 통보하면서 레미콘 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중소 레미콘업체들은 각 시멘트업체에 가격 인상 계획을 즉시 철회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시멘트사들은 "유연탄 가격 상승에 환율까지 오르면서 시멘트 업계의 부담이 커진 상황"이라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맞서고 있다. 중소 레미콘업체 대표 900여명은 '비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53
22.08.25
자유주제

"20년 전과 닮은꼴"..저PER 종목 골라 담아라

주가가 싸고 실적이 견고한 기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올해처럼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가 두드러지던 20년 전에도 가격메리트가 높았던 기업은 좋은 성과를 보였기 때문이다. 주가수익비율(PER)이 낮고 실적예상치가 좋은 종목으로 정유주, 철강주 등이 꼽힌다. 25일 하이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와 2000년대 초반의 거시경제환경은 유사하다. 유동성 위축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49
22.08.25
자유주제

권영세 통일 "'담대한 구상'은 '초심' 되살리자는 신념으로 출발"

권영세 통일부 장과은 25일 윤석열 정부의 대북 '담대한 구상'에 대해 "남북이 대화와 협력의 불씨를 살려냈던 그때의 초심을 되돌아보자는 신념을 바탕으로 출발한 것"이라고 말했다. 권 장관은 이날 오후 박정희대통령기념관에서 열린 학술회의 영상축사를 통해 "올해는 '7·4남북공동성명' 50주년을 맞는 해"라며 이같이 말했다. 권 장관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75
22.08.25
자유주제

가게 문 열기도 전에 '줄 서보셨나요'

최근 들어 ‘오픈런’이 화제다. 오픈(open)과 런(run)의 합성어로 가게가 문을 열기도 전에 사람들이 몰려와 줄을 서는 현상을 의미한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SNS에서 오픈런 인증샷이 이어지며 하나의 ‘유행’으로 떠올랐다. 과연 진짜 유행이 맞을까. 수치로 확인해봤다. 시장조사기관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19~59세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울트라맨8|22.08.25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837
2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