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20억 주사, 효리 살릴수만 있다면 장기라도 팔고 싶어요"

울트라맨8

Lv 116

22.08.26

view_cnt

690

소아 척수성 근위축증.. 이름도 어려운 이 병은.. 전 세계적으로도 드문 희귀병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200명 정도의 환아가 있습니다. 그런데 다행히 획기적인 치료제가 얼마전 나왔습니다. 단 1번만 복용해도 증상이 호전되는 거에요. 다만 문제는 그 가격이 20억원이라는 점이죠. 집을 팔아도 살 수 없는 가정이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얼마 전에 이들에게 희망적인 뉴스가 하나 들려왔습니다. 이 약에 국민건강보험을 적용해 준다는 거였어요. 문제는 모든 환자가 환하게 웃을 수는 없는 상황이라는 건데 무슨 얘기인지를 직접 좀 들어보죠. 소아척수성근위축증을 앓고 있는 효리 양의 어머니, 황신효 씨 연결이 돼 있습니다. 어머님 나와 계세요. ◆ 황신효> 네, 안녕하세요. ◇ 김현정> 우리 한효리 양은 지금 몇 살인가요? ◆ 황신효> 효리는 지금 한국 나이로는 3살이고요. 2020년 2월생이에요. 그래서 지금 곧 27개월이 되어가는 아기입니다. ◇ 김현정> 27개월. 소아척수성근위축증 사실 이름이 좀 낯설어요. 어떤 병입니까? ◆ 황신효> 척수성 근위축증은 운동세포가 소실되면서 생존 기능을 잃게 되는 그런 질환이고 하루하루 근육이 약해지면서 병 자체가 빠르게 계속 진행이 되는 그런 병입니다. 발병 시기랑 속도에 따라서 1형에서 4형까지 나뉘어지는데 1형은 (생후) 6개월 전, 2형은 6개월에서 18개월 전에 진단을 받게 돼요. ◇ 김현정> 빨리, 그러니까 언제 발병하고 얼마나 악화가 빠르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1형, 2형, 3형, 4형. 1형이 제일 좀 심각한 거고 이런 순서인 거죠? ◆ 황신효> 네, 맞습니다. ◇ 김현정> 그럼 우리 효리는 몇 형에 해당되는 건가요? ◆ 황신효> 효리는 1형 다음으로 나쁜 2형에 해당이 됩니다. 1형 환자 같은 경우에는 실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만 2세 이전에 대부분 사망을 하거나 영구적으로 인공호흡기를 의존을 해야 돼요. 아주 심각하고 무섭고요. ◇ 김현정> 2세 이전에 사망한다고요. ◆ 황신효> 네, 만 2세 이전에 만약에 치료를 하지 않게 되면 대부분이 사망하고. ◇ 김현정> 이게 그냥 걷지 못한다 이 정도 문제가 아니라 완전히 생존하고 직결된 문제군요. ◆ 황신효> 아이가 살아가는 문제거든요, 이거는. 아이가 살 수 있느냐. 그래서. ◇ 김현정> 그냥 걷지 못한다 하는 문제도 물론 이게 굉장히 심각한 거지만 이거는 그냥 사느냐 죽느냐와 직결될 정도의 그런 심각한 병. 희귀병. ◆ 황신효> 저희 효리가 진단 받고 하루하루가 정말 애가 무너지는 게 느껴졌어요. 몸이. 몸이 망가진다는 게 느껴질 정도였었고 전엔 세워주면 서 있었는데 꽤 오래 서 있었는데 그게 하루하루 이렇게 근육이 소실이 되니까 바로 넘어지거나 그런 게 바로 눈에 보이더라고요. ◇ 김현정> 지금 저희한테 영상 하나를 보여주셨어요. 효리를 찍은 영상을 보내주셨는데 사실 27개월인데 지금 만세 같은 자세도 절대 안 되는 상황이라고요. ◆ 황신효> 만세 못 해요. 만세도 못 하고 사실은 앉아 있는 것도 저는 보는게 너무나도 힘겹거든요. 왜냐하면. ◇ 김현정> 걷는 건 고사하고 앉아 있는 것도 힘들 정도예요.
'20억 주사, 효리 살릴수만 있다면 장기라도 팔고 싶어요'

'20억 주사, 효리 살릴수만 있다면 장기라도 팔고 싶어요'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강남 학군 아파트 은마·도곡렉슬도 전세거래 주춤

여름방학 기간 서울 강남권 주요 학군 아파트들의 전세 거래가 예년 같지 않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와 도곡동 도곡렉슬은 각 동(洞)에서 거래량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절대량은 감소했다. 초역세권에 내로라하는 학군 단지들도 금리 인상기 영향을 받은 모양새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과 아실에 따르면 올해 6월 1일부터 이달 25일까지 도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0
22.08.26
자유주제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 차라리 두리뭉실한 게 낫습니다

지난 16일 발표된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을 두고 내용이 구체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런 평가의 배경에는 우리 사회가 지난 몇 년 동안 경험했던 '당면 사안들에 대한 획기적인 정책 방안'에 대한 세간의 기대에 못 미쳤기 때문입니다. 이번 발표는 공공중심으로 추진하겠다던 과거의 정책 방향을 수정하겠다는 정도로 받아들이면 충분합니다. 무리한 부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3
22.08.26
자유주제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오늘 가입했습니다

수박빙수|22.08.26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71
22.08.26
자유주제

이사 후 '장기수선충당금' 못받았다면?

최근 A씨는 이전에 세입자로 살던 아파트에서 장기수선충당금을 돌려받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관리비에 포함되다 보니 당연히 임차인인 자신이 지불해야 하는 줄 알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몇 년이나 지난데다 이사 직전에 해당 집주인도 바뀌었다 보니 A씨는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한 마음이 들었다. 이처럼 임대차계약이 끝난 경우 임차인들은 장기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3
22.08.26
자유주제

금리 치솟으며 서울 '부동산 빙하기' 계속..매수심리 16주 연속 하락

금리가 치솟고 대내외 여건이 악화되면서 매수세가 위축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는 16주째 악화되며 3년 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2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8월 넷째 주(22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주 전(83.7)보다 0.8포인트(p) 내린 82.9로 집계됐다. 매매수급지수는 0~100 사이면 매도세가, 100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9
22.08.26
자유주제

"해도 너무한다"·"다 죽게 생겼다"..난리 난 아파트 단지들

서울 강남에 분양가 3.3㎡ 당 1억원짜리 아파트가 잇따라 나온다. 고급 빌라나 오피스텔이 아닌 아파트가 1억원이 넘는 분양가로 나오는 것은 처음이다. 26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강남구청은 지난주 감정평가 기준 추정 분양가격이 3.3㎡ 당 8500만원대에 달하는 삼성동 98번지 가로주택정비사업 관리처분계획안을 인가했다. 재건축·재개발 조합은 보통 구청에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3
22.08.26
자유주제

안녕하세요

가입했어요 잘부탁해요

호화로운|22.08.26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664
22.08.26
자유주제

환경영향평가, 유연해진다..'꼭 필요한가' 스크리닝 도입

환경부가 1980년 도입된 환경영향평가 제도 손질에 나선다. 일정 규모 이상 사업은 일률적으로 실시하는 현행 제도와 달리 평가에 앞서 평가 필요성을 검토하는 스크리닝(screening) 제도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겠다는 구상이다. 환경부는 26일 오전 대구 성서산업단지에서 열린 제1회 규제혁신전략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환경 규제 혁신 방안'을 윤석열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67
22.08.26
자유주제

블룸버그 "한국 최저출산율 경신, 금세기 말 인구 반토막"

한국이 또 다시 최저출산율을 경신해 금세기 말에는 5000만 한국 인구가 절반으로 줄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UN 통계를 인용, 금세기 말에는 한국의 인구가 반토막 날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 24일 한국 통계청은 한국 출산율이 0.81 명으로 전년보다 3포인트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6년 연속 하락세다. 한국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22
22.08.26
자유주제

尹 "규제혁신은 이념 아닌 민생 문제..기업에겐 생사 달려"

윤석열 대통령은 26일 "규제 혁신은 이념과 정치의 문제가 아닌 민생과 경제의 문제로, 재정으로 만드는 억지 일자리가 아닌 규제 혁신이 만들어내는 양질의 일자리를 통해 민생과 경제를 살릴 것"이라고 규제혁신 의지를 강하게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구 성서산업단지 내에 있는 로봇전문기업 아진엑스텍에서 제1회 규제혁신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이 말했다.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1
22.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