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제조사별 하이브리드 특징

CHEVROLET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검은비Lv 89
조회 수2,605

노보스인더스트리 유투브 시청 후 정리한 자료입니다. 막연하게 알고 있던 내용과 모르던 내용까지 싹 정리가 되네요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크게 3종류로 나뉩니다. 1. 토요타 방식 ( 직병렬 혼합방식) 2. 혼다 방식(병렬 + 직렬 방식) 3. 현기이외 대부분의 제조사 (병렬방식) 주요 특징을 살펴 보면 소나타하이브리드 예전 cf 보면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 회생제동으로 베터리가 충전이 된다라고 멘트가 나옵니다. 이게 보통의 하이브리드 베터리 충전 방식입니다. 브레이크를 밟아서 감속할때...엔진 브레이크 걸려서 감속할때 베터리가 충전이 됩니다. 이게 병렬 하이브리드 방식입니다. 그래서 막히는 도심지에서 가다서다를 반복할 경우 충전이 계속 되기 때문에 연비 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토요타의 직병렬 혼합방식은 무엇이냐 하면 기본은 현기의 병렬방식과 동일하나 차이점이 주행중 충전이 가능한 부분입니다. 무슨소리냐면 그냥 병렬방식은 악셀을 밟으면 베터리를 사용만 합니다. 하지만 토요타의 방식은 악셀을 밟을때에도 남는 운동에너지를 베터리 충전으로 보냅니다. 그래서 고속도로에서 악셀을 밟아서 주행중에도 베터리가 충전이 됨으로써 고속주행시에도 연비가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하이브리드에선 필수 시스템인것만큼은 분명합니다. 혼다의 방식은 조금 특이합니다. 보통의 하이브리드가 내연기관+베터리 로 출력을 냅니다. 그런데 혼다의 방식은 베터리로만 출력을 냅니다. 그렇다면 내연기관은 무엇을 하느냐 베터리가 떨어질때쯤 되면 내연기관은 베터리를 충전을 시킵니다. 자동차의 구동엔 전혀 관여하지 않고 베터리 충전에만 올인합니다. 그래서 주행질감은 전기차와 비슷한 느낌이 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토요타의 1세대 직병렬 혼합방식이 특허가 풀렸는데 왜 이렇게 좋은 기술을 현기나 벤비아가 왜 안가져다 쓸까? 그것은 여기에 투자해서 새로운 시스템을 만드는것보다 전기차로 가는게 더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어차피 하이브리드는 전기차로 가기 위한 발판인데 여기에 굳이 투자하느니 손쉬운 병렬 방식으로 만들고 그 돈으로 차세대 전기차에 투자하겠다는게 목적인것입니다. 전 유투브 잘 안보는데 우연찮게 제목에 어그로 끌려서 보다가 간만에 볼만한 영상 보고 지식 공유 하고자 이렇게 글 남깁니다. 사실 2주전부터 님길려고 했는데 이 방대한 내용을 폰으로 쓸 자신이 없어서 포기했다가 앱플레이어로 하면 되겠구나 해서 글 남깁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