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전기차충전방해금지법이 강화되고 난 뒤의 아파트 충전소 모습

Lv 5

24.01.05

view_cnt

1,435

해당 글은 EV라운지 파트너 양키보살 님이 23년 4월 EV라운지에 기고한 글입니다. 이제는 과태료가 부과되고 있습니다. 전기차주와 일반차주의 입장차이를 볼수있어서 가져와 봤습니다. 안녕하세요, 대구 볼트오너 양키보살입니다 전기차오너의 애로사항 또는 전기차에 입문하시는 분들께서 고려하시는 것들 중 하나가 거주지 내의 전기차충전시설입니다. 전기차 보급 초기에는 아파트나 공동주택의 경우 충전기가 아예 없는 경우가 많았고 최근 신축 및 기축 공동주택 충전기 의무설치가 법으로 지정되고 난뒤에도 기축 아파트의 경우 유예기간까지 버티고 있는 곳들도 많이 봐왔습니다. 제가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는 16년 11월에 입주를 했었는데 이때 이미 충전시설이 12기가 갖춰져 있었고, 후에 파워큐브 이동형 충전기용 태그가 작년 연초에 기축시설 주차면수 2%에 맞춰서 10기가 갖춰졌습니다. 그래서 전기차대비 충전기 댓수는 아직 남습니다만 주차공간부족은 어느 아파트든 공통사항이었습니다. 게다가 입주초기부터 내연차가 충전기앞을 점거함으로 늦은 시간에는 자리잡기가 어려워 법령 제정 전에는 배터리 잔량이 50%즈음에 충전기쪽에 자리가 나면 충전을 했습니다. 그렇지 못하고 꼭 충전을 해야하는 경우 먼저 도착하는 내연차로 먼저 주차했다가 도착했을때 내려가서 내연차를 빼고 전기차를 주차 및 충전을 하던지 아니면 충전기 옆 내연차 주차공간에 내연차를 주차후 전기차와 바꿔서 충전을 하기도 했었습니다.
communityImage
[사진1] 충전기옆 내연차 주차칸에서 충전중인 볼트EV 그러다가 충전방해법이 제정되었는데 시행초기 계도기간에는 잘기켜지지 않아 처음부터 인식을 시켜줘야한다는 생각에 계도기간 한 달 동안 30건 가까이 신고를 했었죠. 비록 과태료는 없지만 추후에는 부과할수는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주려구요.
communityImage
[사진2] 충전소에 주차중인 내연차들
communityImage
[사진3] 계도기간에 신고건수 이때 22곳 중에 단속대상구역이 5곳이었는데 전기차는 20대정도였지만 전기차들 전부가 같은 날 동시에 충전하는 경우는 없기에 나름 잘 유지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들 중 한 곳에 내연차들이 종종 주차된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냥 속으로 아쉬움을 삭히다가 아파트내에 공고를 보니 신고가 몇 건 있더라고요. 아파트내에서 결정한 것인지 구청담당자들이 현장에 내사를 해서인지 모르겠지만 어느날 충전소 전체구역을 단속대상으로 지정했습니다. 그 이후 아파트 주차장에서는 충전을 안 하는 전기차들은 다른 곳에 주차하게 되었고 내연차들이 중립 및 가로주차가 많아졌습니다. 충전소는 많이 비어있었고 그 덕분에 새벽에 귀가를 해도 충전할 곳은 여기저기 선택지가 많았습니다.
communityImage
[사진4] 충전방해금지법 강화 공고문
communityImage
[사진5] 충전소 전체 단속구역 지정후 모습 솔직히 전기차주 입장에서 반갑긴 하지만 안 그래도 주차 공간이 모자라는데 내연차들이 주차할수 있는 곳이 더 없어져서 불만이 많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아파트 게시판에 글이 하나 게시되었습니다. 내용은 전기차주들은 동에 상관없이 충전소에 주차&충전을 권장하는 내용입니다. 충전과 주차를 동시에 하라는 것 같으면서도 14시간 이내에 출차하면 된다는 내용을 적은걸로 봐서 충전하지 않더라도 충전기앞에 주차하라는 의미로 이해됩니다. 아마도 내연차주들이 관리사무소에 주차 공간이 줄어든데대한 불만을 제기한 것으로 보입니다.
communityImage
[사진6] 강화후 추가로 공고된 게시물 그이후로 간혹 전기차라도 충전소에 충전없이 주차하는 경우를 매일봅니다. 자리가 없더라도 충전안하면 다른곳에 주차하는 저로서는 속으로는 좀 밉기도 하지만 공고된 게시물의 의도가 그렇다면 관리사무소나 동대표, 해당차주가 서로 난감한 입장인듯합니다. 아직은 충전소가 한가하기에 지켜보고만 있는데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좀 헷갈리긴 합니다.
[신차 시승기]전기차 주행의 즐거움 ‘BMW i5’

[신차 시승기]전기차 주행의 즐거움 ‘BMW i5’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HOT
자유주제

논란의 BMW 왕콧구멍, 사실은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고 있었다는...

다들 그렇게 욕을 하면서도 판매량은 오히려 증가했다고 합니다 (미국 기준) 7시리즈는 전년대비 80.9%, 4시리즈는 37.4% 증가했다네요 다들 츤데레였어....

thumbnail
신화섭 기자|24.01.05
like-count4
commnet-count13
view-count4,723
24.01.05
자유주제

BMW 의 크면 크고 결코 작지는 않은 옵션이 다시 복구가 되었네요,,,장난 때리니.

액티브 프로텍션 복구 됐습니다!! *일부 차종에 한함(액프 삭제됐던 차량들) 3시리즈, 3투어링, 4시리즈, i4 입니다.

thumbnail
동탄 현마허|24.01.05
like-count2
commnet-count4
view-count2,061
24.01.05
자유주제

너희들은 퇴근해서 집가도 싶겠지만 난 퇴근해서

놀러나가고 싶어 ㅠ 6시 언제됨 집에 누워서 유튜브 보는거 지겹다 제발 6시 되라 ㅠㅠㅠㅠ

thumbnail
아우디오널 |24.01.05
like-count1
commnet-count9
view-count1,610
24.01.05
자유주제

아우디 할인이 왜 다 똑같아졌나요??

전부 4% 아니면 6% 로 표시되는데 아직 연초라 그런건가요? 아니면 이제 통큰할인이 다 없어진건가요??

강승계|24.01.05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635
24.01.05
자유주제

함께 가면길은 등 뒤에

“” 함께 가면 길은 등 뒤에 생긴다.. “” 좋은아침요 ~~

나리나라63 |24.01.05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26
24.01.05
자유주제

2023년 12월 수입차 실적이 집계됐습니다!

1. 단 722대 차이로 BMW가 연간 1위에 올랐습니다. 연쇄 화재 사태가 벌어지기 직전인 2015년 이후 무려 8년 만입니다. 2. 베스트 셀링 모델은 E클래스입니다. 풀체인지 직전임에도 대단하네요 3. BMW는 5시리즈 의존도가 매우 높은 편입니다. E클래스, S클래스, GLE, GLC가 고루 팔리는 벤츠랑은 비교되네요. 4. 렉서스가 2019년

thumbnail
신화섭 기자|24.01.05
like-count1
commnet-count6
view-count1,383
24.01.05
자유주제

개가 운전하네요..ㅋ

사람이 저렇게 털이 많을 수가 있나? 하며 접근했더니 개네요ㅋㅋ 이거이거 위험하고 불법이지만 (운전자말고) 개는 귀엽네요 아따 시원타 ㅡ🐶

thumbnail
여드름|24.01.05
like-count4
commnet-count2
view-count1,155
24.01.05
자유주제

겟차 견적내면 보통 얼마만에 연락이오나요?

겟차 견적내면 보통 얼마만에 연락이오나요? 어제글을썼는데 아직 아무데서도 연락이없어서 궁금하네요

ㅎㅂㄹ|24.01.05
like-count1
commnet-count4
view-count1,091
24.01.05
자유주제

'한 번만 작동해도 옵션값 뽑는다'는 긴급 제동이 기본화 되고 있습니다

미국 내 판매중인 20여개 제조사가 신차에 긴급제동을 탑재하겠다고 자발적으로 서약을 한 적 있는데요.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 발표에 따르면, 당초 목표는 95% 이상 탑재였는데 대부분 100%에 근접한 탑재 비율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물론 기본으로 제공하는 것만 보는건 아니고, 테스트를 통과해야 인정받을 수 있는데요 대부분 인정받은 것으

thumbnail
신화섭 기자|24.01.05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840
24.01.05
HOT
자유주제

[정보] 2023년 한국시장 수입차 판매순위 (브랜드/모델)

<브랜드 순위> 1위: BMW(7만 7,395대) 2위: 메르세데스-벤츠(7만 6,697대) 3위: 아우디(1만 7,868대) 4위: 볼보(1만 7,018대) 5위: 렉서스(1만 3,561대) 6위: 포르쉐(1만 1,355대) 7위: 폭스바겐(1만 247대) 8위: 미니(9,535대) 9위: 토요타(8,495대) 10위: 쉐보레[수입](5,589대) 11

thumbnail
정형돈|24.01.05
like-count7
commnet-count13
view-count8,004
24.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