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안개등이 사라지는 것은 "원가절감?" 연구원에게 듣는 자동차 라이트 오해들

VOLKSWAGEN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viLv 103
조회 수1,377

자동차 제조사들이 자사의 기술력을 강조하는 요소 중 하나로 ‘조명’ 기술 어필에 힘쓴다. 헤드램프와 리어램프를 잘 만들면 디자인적인 매력을 끌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도 부여할 수 있다. 무엇보다 좋은 조명은 곧 사고 발생 위험을 감소 시켜 주기도 한다. 최근 국내외 자동차 안전 기관이 램프류를 안전 사양 중 하나로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자동차 조명은 과거에 심지에 불을 붙여 사용하는 것으로 시작됐다. 이후 전기와 전구가 발명되면서 자동차도 어두운 거리를 달릴 수 있게 됐다. 초기의 조명 기술은 어두울 때 보다 멀리, 보다 밝게 보기 위한 목적으로 발전했다. 일반 전구에서 할로겐으로, 할로겐에서 HID로, 그리고 LED에 레이저까지 광원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밤에도 충분히 밝고 멀리 볼 수 있게 됐으니 이제는 어떻게 상대방에게 눈부심을 주지 않으면서 밝은 전방 시야를 유지할 수 있는지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여러 개의 LED 모듈을 사용해 조명 구역을 나누는 것을 시작으로 빛 자체를 회전식 블레이드로 제어해 확실한 빛 분할을 하기 위한 기술도 개발됐다. 최근에는 편광 기술을 사용해 빛을 픽셀 단위로 나눠 하나의 디스플레이처럼 만들고, 운전자에게 보다 선명한 명암 제공은 물론 간단한 애니메이션 효과까지 만들 수 있는 기술이 양산되고 있다. 소형화 추세도 이뤄지고 있다. 과거에는 커다란 원형 반사판이 필요해 전면부 중 헤드램프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반사판 없이 프로젝터를 통해 바로 빛을 발산시키기 때문에 갈수록 헤드램프가 작아지고 있다. 덕분에 디자이너의 새로운 아이디어 반영이 용이해졌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디자인의 램프 디자인이 적용되고 있다. 이렇게 조명 기술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다 보니 소비자들로 하여금 궁금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부분은 차량별로 헤드램프 내부 조명 개수가 다르다는 것. 모두 그렇지 않지만 대체적으로 값비싼 차량일수록 내부 램프 개수도 많아진다. 그에 따른 밝기 성능은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 것일까? 이에 대해 르노삼성자동차의 이창준 라이팅 프로젝트 리더(Lighting project leader)는 “기술적으로 보면 개수가 많으면 성능이 우수하다고 단순히 일반화하기는 어렵다”고 말하면서 “광원의 타입과 특성, 그에 따른 광학 설계의 방법에 따라서 성능은 많이 달라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자동차 전조등의 일반적인 경향성을 바탕으로 한다면 “램프 개수가 많을수록 조명의 성능은 우수하다고 말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안개등이 사라지는 것은 '원가절감?' 연구원에게 듣는 자동차 라이트 오해들안개등이 사라지는 것은 '원가절감?' 연구원에게 듣는 자동차 라이트 오해들

댓글 4

KIA 로고 이미지HYUNDAI 로고 이미지
소니7Lv 90

오 굿굿

PORSCHE 로고 이미지PORSCHE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하데스992sLv 90

👍 👍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많으면 이쁘긴한데요 ㅎㅎ

BMW 로고 이미지
현욱아빠Lv 54

원글 댓글에도 있는데...제가 낚시를 다녀서 새벽에 안개를 자주 만나는데 정말 심한 안개있을때 전조등 켜면 정말 앞이 하얗게되서 아무것도 안보일때 있어요..안개등 없는것 보다는 있는게 좋을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