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정점 안 보이는 ‘인플레’…100bp 인상론 `솔솔`

VOLKSWAGEN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viLv 103
조회 수1,179

글로벌 경제와 증시, 기업에 대해 깊이 있게 분석하는 `GO WEST` 시간입니다. 글로벌콘텐츠부 오민지 기자와 함께 하겠습니다. 오 기자, 지난 밤에 미국 증시가 마감했습니다. 이번 하락폭은 물가 지표 발표를 앞둔 우려감 때문인가요? <기자> 네 말씀하신 것처럼 지난밤에 나스닥이 2.26% 하락하는 등 미국 증시가 하락 마감했는데요. 미국 시간으로 13일에 발표되는 6월 CPI 발표를 앞두고 투심이 얼어붙은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월가에서 6월 소비자물가 지수 CPI가 5월 수준보다 높을 것으로 예측하면서 인플레이션 정점이 아직 오지 않았다는 전망 때문이죠.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번 6월 CPI 상승률은 8.8%로 전망됩니다. 지난 5월 CPI 상승률 8.6%보다 높은 거죠. <앵커> 인플레이션 피크아웃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인거네요. 정말 전망대로 이번 CPI가 높게 나온다면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기자> 시장 전망대로 8.8%가 나오거나 전망치보다 높게 나온다면 이번달 말의 FOMC 움직임이 더 강경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영향이 큽니다. 지난 5월도 기존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CPI가 나왔거든요. 인플레이션 수준이 여전히 높다는 것이 시장의 의견이다보니 FOMC에서 100bp를 인상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75bp 자이언트 스텝이 나올 것이라는 것이 중론이지만 인플레 파이터를 자처한 연준이 100bp라는 극약처방을 내릴 수도 있다는 겁니다. 11일 현지시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에 따르면 채권 시장 전문가 90.6%가 7월 말 FOMC에서 75bp 인상될 것이라고 전망했고 9.4%는 100bp 인상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달초만 해도 50bp 인상을 지지한 전문가가 13.8%, 75bp를 지지한 전문가가 86.2%였거든요. 굉장히 양상이 달라진 거죠. 실제로 이번 CPI가 시장의 예상치 보다도 높게 나온다면 100bp 인상론에 더 무게가 실릴 수 있는 상황인 겁니다. <앵커>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강력하다는 진단에서 연준이 금리를 크게 올릴 수 있다는 거죠? <기자> 네 하지만 지금의 물가 지표가 현실 상황을 온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오늘 카린 장 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오는 13일 발표 예정인 6월 CPI가 높게 상승할 것"이라고 말하면서도 "이 데이터는 철 지난 수치"라고 못을 박은 겁니다. 최근 들어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면서 반영되지 않은 한물 간 데이터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시장의 예상을 넘어선 CPI가 발표될 수 있다는 점을 백악관이 암시한 거고 이미 7월 들어 물가가 떨어지고 있으니 6월 CPI에 너무 놀라지 마라는 의미로 볼 수 있는 거죠. <앵커> 전문가들의 시선은 벌써 100bp를 염두에 두고 있는 상황이군요.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