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정우덕 칼럼] 전기차에도 내연기관차 처럼 12V 배터리가 적용된 까닭은?

BENZ 로고 이미지POLESTAR_14 로고 이미지
GoFowardLv 102
조회 수726

전기차는 고용량 배터리로 주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배터리는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일반 차량과 마찬가지로 작은 용량의 12V 배터리를 추가로 탑재하고 있다. 자칫 방전될 수도 있는데, 왜 굳이 있는 것일까 궁금해 할 수 있는데, 이런 건 설계 개념의 문제로 보는 게 타당하다. 고압 배터리는 주행 동력 제공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시동을 끄면 고전압 전원의 위험을 피하고자 물리적으로 단자가 분리된다. 필요할 때만 물리고 아닐 땐 떼어 놓는다는 얘기다. 그러기 위해 최소한 단자의 접속과 분리를 수행하는 동력이 필요한데, 별도의 전원에서 받아야만 한다. 이와는 별개로 400V 정도의 전압에서 12V 전압으로 작동하는 전자장치들을 구동시키기 위해 항상 컨버터를 거치는 것도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컨버터 작동 원리에 따라 부하가 작으면 효율이 크게 떨어지고 최대 부하 부근에서 효율이 제일 높다. 그렇다면 12V 전원을 공급하는 별도 배터리를 필요로 할 때 최대 부하로 충전해서 에너지를 보관해 놓고, 실제로 필요할 때 꺼내 쓰는 것이 효율적이다.

[정우덕 칼럼] 전기차에도 내연기관차 처럼 12V 배터리가 적용된 까닭은?[정우덕 칼럼] 전기차에도 내연기관차 처럼 12V 배터리가 적용된 까닭은?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