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10명 중 4명 임종 하루 전까지 연명치료 받아"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837

최근 3년간 서울대병원 응급실에서 질병으로 사망한 성인 환자 10명 중 4명은 임종 전 24시간 동안 응급실에서 인공호흡기 삽관이나 심폐소생술 같은 연명 치료 등 중증 치료를 받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임종 전 24시간 동안 마약성 진통제 등 편안한 증상 조절을 받은 환자는 10명 중 3명에 불과했다. 서울대병원 유신혜 교수·세종충남대병원 김정선 교수팀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서울대병원 응급실에서 질병으로 사망한 성인 환자 222명을 대상으로 생애 말기 의료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18일 이같이 발표했다. 연구팀이 응급실에서의 임종 현황에 대한 통계 결과를 분석한 결과, 많은 만성 중증질환자들이 임종이 임박한 순간 찾은 응급실에서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임종 전 24시간 동안 응급실에서 중증치료를 받는 비율은 39.6%였다. 중증 치료는 ▲인공호흡기 치료(36.0%) ▲심폐소생술(27.5%) ▲혈액 투석·체외막산소요법(각 0.5%) 등이었다. 특히 중증 치료를 받은 대부분의 환자는 혈액검사(92.3%)와 승압제 투여(62.6%)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돌봄 계획 및 응급실에서의 임종 돌봄 적절성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않은 국내 상황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반면 임종 전 24시간 동안 마약성 진통제 등 편안한 증상 조절을 받은 환자는 31.5%에 불과했다. 또 사전 돌봄 계획 논의 여부를 살펴본 결과 응급실 내원 전에는 21.2%(47명), 내원 후에는 67.6%(150명)로 사전 돌봄 계획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를 통해 사망 전 본인의 의사를 밝힌 환자는 27.0%(60명)로 확인됐다. 연명의료 법정 서식을 작성한 환자들은 미작성 환자에 비해 응급실에서 중증 치료보다는 편안한 증상 조절을 더 많이 받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연명의료 법정 서식을 작성하지 않고 사망하는 환자의 비율은 2018년 90.2%, 2019년 53.5%, 2020년 27.6%로 해마다 감소해 연명의료에 대한 환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4명 임종 하루 전까지 연명치료 받아''10명 중 4명 임종 하루 전까지 연명치료 받아'

댓글 1

BENZ 로고 이미지POLESTAR_14 로고 이미지
GoFowardLv 102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