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외면 받던 '타다' '우버' 시동 걸리나..심야 택시 승차난에 "재검토"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50

4명 중 1명. 심야시간대 택시잡기에 성공(호출성공률)하는 사람 수다. 정부가 날이 갈수록 심해지는 심야시간 택시 승차난 해소를 위해 '탄력요금제'를 도입한다. '타다'나 '우버'와 같은 승차공유형 플랫폼에 대해서도 재검토키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18일 새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시장경제원리에 따라 가격 요인을 통해 부족한 택시 공급을 늘리되 국민이 수용할 수 있는 수준 내에서 절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현재 심야 택시 승차난의 가장 큰 원인을 운행택시 부족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COVID-19) 직전인 2019년 말 10만 명이 넘던 법인택시 운전자는 지난 4월 말 현재 7만 명 수준으로 감소했다. 법인택시 운전자 수가 감소하면서 운행 가능한 법인택시 수가 줄어들고 개인택시 운전자들은 고령층이 많아 야간 운행을 꺼리는 상황이다. 현재 가장 유력하게 검토 중인 방안은 '플랫폼 택시 탄력요금제'다. 이용자 수요는 많지만 택시 공급이 부족한 오후 10시~오전 2시까지 시간대를 심야 시간대로 지정해 플랫폼 택시 요금을 탄력적으로 책정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이다. 플랫폼(브랜드) 택시 요금과 일반 택시 호출료를 나눠 탄력적으로 적용하되 이용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고려해 추진할 계획이다. 플랫폼 택시는 카카오택시, 반반택시 등 플랫폼 가맹 또는 중개사업자의 앱(애플리케이션)으로 이용자가 호출하는 택시다. 탄력요금제가 도입되면 호출 시점의 실시간 수요·공급에 따라 요금이 변동한다. 이용자들은 기존보다 요금할증, 추가 호출료 등이 부과된 택시를 잡을 수 있다. 앞서 올해 5월 탄력요금제 시범도입 결과, 배차완료건수가 확대되는 등 개선효과를 확인했다는 설명이다. 과거 택시업계의 반발로 활성화가 어려웠던 '타다'나 '우버'와 같은 승차공유형 플랫폼에 대해서도 열어두고 재검토한다. 또 버스·지하철 등 다른 교통수단 연계 방안 등을 열어두고 검토할 방침이다.

외면 받던 '타다' '우버' 시동 걸리나..심야 택시 승차난에 '재검토'외면 받던 '타다' '우버' 시동 걸리나..심야 택시 승차난에 '재검토'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