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빅스텝'에 짓밟힌 분양시장..경쟁률 '뚝뚝'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20

아파트 분양시장이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청약 당첨 평균 가점은 최근 들어 대폭 낮아졌고, 부동산 규제 완화가 시행된 이후에도 대구 등 일부 지역은 청약 미달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에서도 이달 미분양이 급증하는 등 기준금리 인상발(發) 청약 심리 악화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경기 시흥시 월곶동에 짓는 ‘시흥 센트럴 헤센’ 최고 가점은 전용면적 84㎡B형 기준 51점(기타지역) 수준이다. 전용 84C㎡형 최고 가점은 39점(해당지역)에 그친다. 이 단지는 1순위 해당지역 기준으로 일부 미달이 발생하는 청약 열기가 한풀 꺾였다. 이는 올해 초 같은 지역 내 청약 열기와 정반대다. 지난1월 시흥시 신천동에서 분양한 ‘신천역 한라비발디’는 최고 가점이 전용 84㎡형 기준 74점에 달했다. 두 곳 모두 고분양가 논란을 겪었지만, 1월 분양과 달리 이달 분양한 시흥 센트럴 헤센은 상대적으로 저가점 통장도 당첨될 정도로 경쟁률이 낮아지는 등 시장 분위기가 식은 것이다. 부동산 규제 완화 혜택을 받은 대구 역시 청약 시장 침체가 이어졌다. 11일부터 14일까지 청약을 받은 수성구 만촌동 ‘엘크루 가우디움 만촌’은 전 평형에서 1순위 마감에 실패했다. 2순위 기타지역 신청까지 받았지만 총 37가구 모집에 14가구만 청약통장을 썼다. 4일부터 7일까지 수성구에서 분양한 ‘시지 삼정그린코아 포레스트’와 ‘범어자이’ 역시 청약 미달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범어자이는 대형 건설사가 짓는 브랜드 단지임에도 전용 114㎡형 평형을 제외한 전용 84㎡형 5개 평형 모두 미달했다. 이 밖에 대전 동구에선 같은 기간 신청을 받은 ‘대전 스카이자이르네’는 전용 84㎡D형에서 2순위 신청까지 받았지만 결국 미달됐다. 정부는 대구 수성구와 대전 동구를 지난달 말 투기과열지구에서 조정대상지역으로 조정했다. 투기과열지구는 조정대상지역보다 1순위 청약자격 기준과 재당첨제한기간 규정 등이 더 강하다. 규제가 소폭 조정됐지만, 청약 결과만 놓고 보면 그 효과는 사실상 규제 이전과 큰 차이가 없는 셈이다. 이렇듯 최근 청약시장은 기준금리 인상 영향에 따른 부동산 시장 경직으로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5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4월보다 0.7% 늘어난 2만7375가구로 집계됐다. 특히 서울은 미분양 가구가 688가구로 전월(360가구)의 두 배 수준으로 늘었다. 경기 역시 2449가구로 전월 대비 14.1% 늘었다. 아파트 분양 경기는 두 달째 악화 중이다. 주택산업연구원 따르면 이달 전국 분양전망지수는 70.4로 집계됐다. 해당 지수는 지난 5월 87.9에서 지난달 70.9로 하락한 뒤 이달에도 70.4로 떨어졌다. 특히 대구는 60.0, 대전은 68.4를 기록해 전국에서도 하위권에 머물렀다. 수도권도 지난달 81.0에서 이달75.7로 급락했다. 경기는 77.7에서 66.7까지 내렸다. 이 지수는100을 기준으로 100 이상이면 분양경기가 좋을 것으로, 100 이하면 나쁠 것이라고 예상하는 비율이 더 높다는 뜻이다. 분양시장 침체는 기준금리 인상과 주택 매수심리 악화로 시작된 만큼 경제 상황이 급반전하지 않는 이상 하반기 이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주산연은 “대전과 대구 등 투기과열지구 해제로 분위기 반전을 기대했으나, 기준금리 상승과 경기침체에 따른 우려로 매수심리가 위축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빅스텝'에 짓밟힌 분양시장..경쟁률 '뚝뚝''빅스텝'에 짓밟힌 분양시장..경쟁률 '뚝뚝'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