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서울 오피스텔 전·월세↑..MZ "월급 25% 이상 주거비 지출"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15

서울 지역 오피스텔의 전셋값이 상승한 데다 월세도 오르면서 자기자본이 부족한 청년층의 주거비 문제에 빨간불이 켜졌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분기 서울 오피스텔 전세가격은 전분기 대비 0.4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폭이 전분기 변동률(0.60%)보다 감소했지만 이는 전국 지수 변동률(0.19%)보다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의 평균 전세가격은 2억927만원으로 전년 동월(2억315만원) 대비 약 600만원 상승했다. 오피스텔의 주 수요층은 자금 여력이 부족한 2030세대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전세가격 급등으로 청년 주거문제가 심화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지난 3월 발표한 ‘오피스텔 100만호 시대, 성과와 과제’에 따르면 오피스텔 주거 가구 전체의 62.3%가 2030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총 경상소득 300만원 이하 중·저소득층 가구의 비중은 67.2%로 단독주택(73.9%) 다음으로 높다. 금리인상까지 겹치면서 전세 상승분만큼을 준전세로 계약하는 사례도 나온다. 마포구 A오피스텔의 경우 이번달 임대차 계약 신고가 된 4건 중 3건이 준전세로 계약됐다. 면적별로 계약금액이 상이하지만 보증금만 1억8000만~2억원 선으로 전세금액과 맞먹는다. 특히 금리인상으로 전세대출이 부담스러워지면서 차선책이 된 월세 구하기도 녹록지 않다. 월세가격지수는 2분기 전분기 대비 0.45% 상승하며 1분기 변동률(0.29%)보다 확대됐다. 중구의 B오피스텔(25.58㎡)은 지난해 6월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78만~81만원에서 동일 층수가 지난달에는 같은 보증금에 2만~3만원 높게 계약됐다. 전문가들은 청년 주거문제 해결을 위해서 시장가격과 별도로 움직이는 주택 공급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김준형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청년 월세지원 등 수요 지원 사업들이 진행 중이지만 공급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는 가격 상승으로 귀결된다"며 "장기적으로 공공·민간 임대주택 공급을 통해 임대료 상한이 있는 물량을 늘리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 오피스텔 전·월세↑..MZ '월급 25% 이상 주거비 지출' | Daum 부동산서울 오피스텔 전·월세↑..MZ '월급 25% 이상 주거비 지출' | Daum 부동산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