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고령층 절반 연금 '0원'..3명 중 2명 "일하고 싶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79

고령층(55~79세) 인구 절반 이상이 지난 1년간 연금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3명 중 2명 이상은 생활비를 벌기 위해 계속 일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5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통계는 지난 5월 고용동향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고령층 3명 중 2명 "73세까지 계속 일하고 싶다" 고령층 가운데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비율은 올해 5월 기준 68.5%(1034만8000명)로 집계됐다. 3명 중 2명 이상은 계속 근무를 희망하는 셈이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0.4%포인트(p) 상승했다. 근로 희망 고령층 중 57.1%는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라는 이유를 댔다. '일하는 즐거움'은 34.7%, '무료해서' 4.1%, 사회가 필요로 함' 2.1%, '건강 유지' 1.9% 순을 보였는데 '생계를 위한 이유'가 압도적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77.3%, 여성의 60.4%가 계속 근무를 희망했다. 고령층 인구가 희망하는 근로 연령은 평균 73세였다. 연령대로 보면 55~59세는 69세까지, 60~64세는 72세, 65~69세는 75세, 70~74세는 79세, 75~79세는 82세까지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이 일자리를 선택하는 기준으로는 일의 양과 시간대(28.9%), 임금 수준(21.5%), 계속 근로 가능성(16.4%) 등을 꼽았다. 반면 과거 취업 경험과 연관성이 있는 일자리를 희망하는 사람은 10.4%에 그쳤다. 희망 일자리 형태는 전일제가 54.2%, 시간제가 45.8%였다. 월평균 임금 수준은 150만~200만원 미만(20.9%)이 가장 많았으며 200만~250만원 미만(18.5%), 100만~150만원 미만(17.8%)이 뒤따랐다. 이는 노후 대비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전체 고령층 가운데 49.4%(745만7000명)만 월평균 69만원의 연금을 수령했다. 고령층 절반 이상은 연금을 받지 못한다는 이야기다. 연금을 수령하지 못하거나 연금 수령액만으로 생활이 어려워 일을 계속하고 싶은 것으로 풀이된다. 연금 수령자 중에서도 25만~50만원 미만을 받는다는 응답자가 44.4%로 가장 많았다. 50만~100만 미만이 27.5%였으며 10만~25만원 미만도 11.0%나 차지했다. 반면 150만원 이상 수령자 비중은 10.7%로 집계됐다.

고령층 절반 연금 '0원'..3명 중 2명 '일하고 싶다'고령층 절반 연금 '0원'..3명 중 2명 '일하고 싶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