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유럽행 가스 또다시 줄인 러시아.. '살라미 전술'로 효과 극대화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98

러시아가 노르트 스트림-1 가스관을 통해 유럽에 향하는 천연가스 공급을 또다시 줄이겠다고 통보했다. 가스관을 다시 가동한지 일주일만에 가스를 감축하겠다며 유럽의 에너지 불안감을 키운 것이다. 가스 문제를 두고 이어진 러시아의 ‘살라미 전술’은 유럽의 민심을 지속적으로 자극하며 러시아에게 전략적 이점을 안기고 있다. 25일(현지시간)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국영가스회사 ‘가즈프롬’은 이날 “정기 수리까지의 가동 기한이 끝남에 따라 (노르트 스트림-1 가스관을 위한) ‘포르토바야 가압기지의 가스관 터빈 엔진 하나의 가동을 멈춘다”고 발표했다. 가즈프롬은 이어 모스크바 시간으로 27일 오전 7시부터 포르토바야 가압기지의 하루 가스운송량이 현재(하루 6700만㎥)의 2분의 1인 하루 3300만㎥까지 줄어들 것이라고 예고했다. 하루 3300만㎥의 운송량은 이 가스관 전체 용량의 20%에 해당하는 규모다. 가즈프롬의 조치로 가스 수급을 둔 유럽 국가들의 근심은 또다시 커지게 됐다. 러시아는 앞서 지난 11일 유지보수를 이유로 노르트 스트림-1 가스관의 가동을 완전 중단해 유럽의 에너지 위기감을 촉발시켰으며, 지난 21일에는 가스관을 다시 가동해 일부 숨통을 트이게 했다. 하지만 가스 공급량은 전체 용량의 40%에서 30%으로, 이날 또다시 20%까지 줄었다. 유럽 입장에서는 가스가 완전히 차단되기까지의 과정을 불안하게 지켜보게 된 셈이다. 가즈프롬 측은 앞서 가스 운송을 축소하고 중단했던 이유로 가스관의 유지보수 문제를 들었다. 캐나다에 수리를 맡긴 가스관 터빈이 대러 제재로 반환이 지연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캐나다 정부는 대러 제재까지 일부 면제하며 해당 터빈을 돌려주도록 했으나, 러시아 측은 충분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가즈프롬은 이날 “(터빈 반환 이외에도) 추가적인 문제들이 남아있다”라며 유럽연합(EU)과 영국의 제재와 관련한 문제들을 거론했다. 대러 제제와 관련해 더 광범위한 해제 조치를 요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러시아는 그간에도 대러 제재 완화를 위해 자국에 대한 서방 국가들의 에너지 의존도를 지렛대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러시아는 특히 강력한 제재를 한꺼번에 쏟아놓으며 ‘질식 작전’으로 나간 서방과 달리, 자국이 쥐고 있는 카드를 조금씩만 꺼내놓으며 상대를 심리적으로 압박하는 방식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전략은 특히 가스 수급을 둔 문제에서 두드러졌다. 러시아는 지난 4월 가스의 루블화 결제를 요구하며 폴란드와 불가리아를 시작으로 한달에 1~2개 국가씩 가스 공급을 중단했다. 한 번에 유럽 전체를 상대하지 않고 협상 대상을 세부적으로 쪼갠 것이다. 이로 인해 에너지 위기에 대한 각국의 불안감은 차츰 고조됐으며, EU 단합의 시험대로 작용하기도 했다.

유럽행 가스 또다시 줄인 러시아.. '살라미 전술'로 효과 극대화유럽행 가스 또다시 줄인 러시아.. '살라미 전술'로 효과 극대화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