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중동 이어 유럽 시장까지..진격의 'K-방산'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08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글로벌 경제가 대혼란에 빠졌지만 남몰래 웃는 기업이 있다. 바로 방산업체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IG넥스원, 한화디펜스 등 국내 방산업체들은 저마다 탄탄한 무기 경쟁력을 바탕으로 수주를 늘리면서 ‘K-방산’의 저력을 전 세계에 알리는 중이다. 때마침 윤석열정부도 방산 수출을 대대적으로 지원하면서 방산업계 기대가 크다. ▷폴란드 대규모 무기 수출 눈앞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6월 29~30일(현지 시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기간 중 방산 세일즈 외교에 나섰다. 인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 앤서니 노먼 알바니지 호주 총리 등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방산 수출 성과를 기대하는 모습이다. 방산업계에서는 조만간 폴란드 정부와 FA-50, K2 전차, K9 자주포, 레드백 장갑차 등 10조원이 넘는 방위 산업 분야 수출 업무 협약(MOU)이 체결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폴란드 공군은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해 보유한 옛 소련제 미그-29 전투기 상당수를 공여했다. 이 전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 대당 4000만달러(약 500억원)짜리 한국산 FA-50 구매를 추진 중이다. 폴란드는 당초 미국 록히드마틴의 F-16 도입을 준비했지만 세계 각국의 F-16 구매계약이 몰리면서 인수 시점이 미뤄질 수 있다는 우려에 FA-50으로 눈을 돌렸다는 후문이다. 호주에도 한화디펜스의 차세대 전투장갑차 레드백 수출 기대가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 호주는 레드백 등 전투장갑차 도입 사업 시험평가를 마치고 올 하반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앞뒀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정부가 추진하는 방산 수출을 포함해 세계 3~4위권 방산 대국 진입을 목표로 수주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국방상호조달협정(RDP) 논의를 시작하기로 한 것도 방산업계에 호재다. RDP는 미국 국방부가 동맹국, 우방국과 체결하는 양해각서다. 무역 장벽을 없애거나 완화하는 내용을 담은 협정으로 ‘국방 분야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불린다. 방산업계에서는 한미 RDP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 수출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때마침 우리나라 국방비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국방비 지출이 연평균 8.8% 증가했고, 2025년 국방비는 67조6000억원으로 올해(56조5000억원)보다 11조원 넘게 늘어날 전망이다. 신규 전력 확보를 위한 무기 개발, 구입 비용도 올해 18조2000억원에서 2025년 23조6000억원으로 5조원가량 증가한다. 우리나라는 이미 세계에서 손꼽히는 방산 대국 위상을 갖췄다. 국방기술진흥연구소의 ‘2021 세계 방산 시장 연감’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6년 이후 5년간 전 세계에서 9번째로 무기 수출 규모가 많다. 미국이 세계 최대 무기 수출국에 올라 있고 러시아, 프랑스, 독일, 중국, 영국, 스페인, 이스라엘 등이 뒤를 잇는다. 방산 수출도 증가세다. 한국 기업들의 방산 수출 규모는 2020년까지만 해도 연 30억달러 수준에 그쳤지만 지난해 70억달러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올해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비롯해 미국과 중국의 신냉전 등으로 국제 정세가 요동치면서 수출 규모가 급증할 전망이다. 연말 기종이 선정될 노르웨이 차기 전차 사업, 말레이시아와 콜롬비아의 FA50 경공격기 도입 사업 등에서 한국 방산업체 수주 가능성이 높다. 올해 한국 기업들의 방산 수출이 사상 처음 100억달러를 돌파해 세계 5위권에 올라설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중동 이어 유럽 시장까지..진격의 'K-방산'중동 이어 유럽 시장까지..진격의 'K-방산'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