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탄소중립' 이끌 최적의 친환경 수단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88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인위적 온실가스의 배출량 증가가 지구 온난화의 주원인이라고 선언했다. 탄소 저감이 우리나라 정부와 기업의 긴급한 과제가 되면서 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나무의 기능이 새삼 주목 받고 있다. 기후 위기 시대, 나무를 활용해 탄소 저감에 나선 곳을 찾았다. 나무가 숲이 되었을 때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가치와 효용을 6회에 걸쳐 살펴본다. 국제사회는 2015년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지구의 평균적인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이내, 더 나아가 1.5도 이하로 제한하도록 노력하는 파리협정에 합의했다. 국제사회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공동 노력을 기울이자고 합의한 기후변화 협약은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처음 체결됐지만, 구체적인 시기와 감축량을 명시하지 않아 한계가 있었다. 파리협정은 지구 평균기온 목표치를 처음으로 명문화했고, 선진국(40개국) 위주로 부과하던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195개 모든 당사국으로 넓혔다. 당사국들이 정한 목표의 이행 정도를 점검하기로 한 것과 종료 시점 없이 지속적인 기후 변화 대응 체제를 구축한 것도 진전된 성과였다.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40% 감축하기로 하고, 2020년 ‘2050 탄소중립 최종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기후 위기, 나무가 희망이다②]  '탄소중립' 이끌 최적의 친환경 수단[기후 위기, 나무가 희망이다②] '탄소중립' 이끌 최적의 친환경 수단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