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친환경 전기자동차, 안전하게 타자 / 전지연

BENZ 로고 이미지POLESTAR_14 로고 이미지
GoFowardLv 102
조회 수967

최근 광주 상무지구에서 도심을 달리던 소형 전기차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아 다행이었다. 미국에서도 지난달 24일 폐차장에 있던 테슬라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했다. 불이 쉽게 잡히지 않자 소방관들은 커다란 물구덩이를 만들어 차량을 빠트리는 방식으로 겨우 진화했다. 지금까지의 화재 대부분은 전기차에 장착한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했다. 위의 화재들도 다르지 않다. 전기차 하부에는 손가락만한 원통형 혹은 파우치형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겹겹이 쌓여있다. 충격으로 인해 배터리 내부의 음극과 양극을 분리하는 분리막이 손상되면 순식간에 온도가 800-1천℃ 이상 올라 배터리 내부가 팽창하면서 폭발하는 것이다. 배터리 관련 화재 원인은 배터리 제조 과정의 불량,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과충전, 교통사고 등 강력한 외부 충격 등이다. 전기차의 경우 2021년 23건의 화재가 발생했는데 등록대수(23만대) 대비 약 0.01% 비율로 오히려 내연기관 차량보다 낮다.

ģȯ�� �����ڵ���, �����ϰ� Ÿ�� / ������ģȯ�� �����ڵ���, �����ϰ� Ÿ�� / ������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