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편하다고 패스트푸드로 혼밥하다간 치매환자된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1,191

코로나19 감염 위험 때문에 실시됐던 사회적 거리두기가 사라졌지만, 이전과 달리 여럿이 같이 식사하는 것보다는 ‘혼밥’이 편하다는 사람들이 이전보다 늘었다. 그렇지만 간편하고 빠르게 먹을 수 있다고 해서 컵라면이나 패스트푸드를 즐겨 먹다간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 텐진의대 공중보건학부, 텐진중의학대, 스웨덴 룬드대 임상의학과 공동 연구팀은 초가공 식품(ultra-processed food)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위험이 높다고 31일 밝혔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신경학’ 7월 28일자에 실렸다. 초가공식품은 가공 과정이 복잡하고 식품 첨가물이 많이 포함되고 설탕, 포화지방, 염분 함량이 높은 식품을 말한다. 청량음료, 달고 짠 과자류, 소시지, 가공햄, 인스턴트 컵라면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대표적인 의학 분야 빅데이터인 영국 바이오뱅크를 활용해 치매가 발병하지 않고 기억력에 문제를 겪지 않는 55세 이상 성인 남녀 7만 2083명을 무작위 추출한 뒤 10년 동안 추적조사를 실시했다. 특히 연구팀은 이들의 평소 식습관과 10년 뒤 치매 발병 여부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하루에 814g 이상 초가공식품을 섭취하는 사람은 하루 평균 225g 이하로 섭취하는 사람들에 비해 치매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초가공 식품의 일일 섭취량이 10% 증가할 때마다 치매 위험은 25%씩 높아졌다. 초가공식품은 주로 음료 형태로 섭취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하루 사과 반쪽, 통곡물 한 그릇, 옥수수 1개 등 하루에 과일과 채소를 규칙적으로 섭취하면 치매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일, 야채 섭취량 50g당 치매 발병 위험은 3%씩 줄어든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를 이끈 후이핑 리 중국 텐진의대 교수는 “초가공 식품은 편리하고 입맛을 당기게 만들어주는 음식이기는 하지만 식단의 질을 떨어뜨리고 건강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친다”며 “초가공식품이 좋지 않은 이유는 식품 첨가물들이 다량 포함돼 있어 포장이나 조리 과정에서 사고력이나 기억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분자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달콤한 사이언스] 편하다고 패스트푸드로 혼밥하다간 치매환자된다[달콤한 사이언스] 편하다고 패스트푸드로 혼밥하다간 치매환자된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