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키움證 "美 인플레 '정점' 찍고 둔화될 듯..국제유가 하락 영향"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42

키움증권은 다음주 발표되는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라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전망도 변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물가 정점 형성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봤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5일 보고서에서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전망치)는 전년동월대비 8.8%로 모아지고 있다"며 "전월(9.1%)에서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 물가 상승의 주된 요인은 에너지 가격과 식품, 주거비용으로 이 중 에너지 가격의 오름세가 주춤해진다면 상승 폭 둔화를 통해 물가의 정점 형성 가능성은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국제유가와 휘발유 가격 오름세는 둔화하고 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100달러 아래로 떨어졌고 휘발유 가격도 8월3일 기준 50일 연속 하락하고 있다. 미국 내 가격은 갤런당 4.16달러로 6월(5.02달러) 이후 약 17% 내려갔다. 김 연구원은 "에너지 가격 중심으로 물가 상승세가 둔화된다면 시장에서는 피크아웃 전망이 강화될 것"이라며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해주며 금융시장 내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연장시켜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주거비용 중심의 서비스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있어 둔화세는 완만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시장에서는 CPI는 둔화하리라 예상하면서도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6.1%로 반등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근원 소비자물가는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가격 변동을 측정한다. 나아가 8월 미시간 소비자신뢰지수와 1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율에도 주목할 것을 권했다. 최근 주식시장 상승과 위험회피 성향 완화 등을 고려할 때 반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높아지면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더라도 연준의 긴축 기조가 이어질 수 있다. 김 연구원은 "매파적인 긴축기조 또는 공격적 긴축 행보가 지속될 것이라는 신호를 줄 경우 내년 금리 인하를 반영하고 있는 가격 변수들의 변동성이 다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키움證 '美 인플레 '정점' 찍고 둔화될 듯..국제유가 하락 영향'키움證 '美 인플레 '정점' 찍고 둔화될 듯..국제유가 하락 영향'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