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휴가 끝' 대우조선, 하청지회 불법점거 후폭풍은 '지금부터'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52

대우조선해양 하청지회 파업 및 불법점거 사태가 일단락되고 하계휴가도 종료되면서 옥포조선소 전체 사업장 조업이 2개월여 만에 정상화됐다. 후폭풍은 이제부터다. 휴가를 반납한 작업자들 덕분에 지연된 납기는 일부 회복했지만, 손해배상 후속 논의 및 분리매각 추진 등이 새로운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8일 대우조선해양에 따르면 이날부터 옥포조선소 운영이 재개됐다. 휴가 기간에도 상시 근무 인원의 약 80%가 휴가를 반납하고 정상 출근해 지연된 공정은 상당수 만회된 상태다. 노르웨이 크누센사가 주문한 3371억원 상당의 셔틀탱커 2척 인도 기한이 이달 말까지인데, 1척은 지난 2일 인도됐으며 나머지 1척도 기한 내 인도가 가능한 상황이다. 하청지회 점거로 계류됐던 유조선의 건조도 순조롭다. 점거를 마친 뒤 진수돼 블록 연결작업이 진행됐으며 내년 1월로 예정된 인도 기한 준수도 유력시된다. 해당 선박의 계류로 작업이 밀렸던 나머지 선박들 역시 이날 조업 정상화를 계기로 작업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돼 최대 300억원으로 예상됐던 지체보상금 규모도 크게 줄일 수 있게 됐다. 문제는 이 같은 노력에도 불법점거에 따른 손실 규모가 막대하다는 점이다. 앞서 대우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 협력사협의회는 하청지회의 불법점거에 따른 피해가 7000억원을 웃돈다고 밝힌 바 있다. 협력사협의회와 하청지회의 합의 당시에도 손실보상에 대한 부분은 추후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고, 이와 별개로 대우조선해양도 하청지회에 손실보상을 요구할 계획이다. 휴가 기간이 마무리되면서 이들 간 손실보상에 대한 논의도 재개된다. 보상 논의에 앞서 양측 모두가 동의하는 정확한 피해 규모 추산이 이뤄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부터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실제 하청지회 상위노조인 금속노조 등을 중심으로 대우조선해양 및 협력사의 피해금액 추산이 잘못됐으며, 하청지회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고소 및 손해배상 요구가 탄압이라는 여론이 확대되는 실정이다. 이번 사태의 최대 피해자인 대우조선해양 홀로 감내해야 할 고충도 상당하다.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됐음에도 장시간 적자에 시달리고, 불법점거 사태 장기화로 당국과 채권단의 신임을 잃은 상태다. 신임 회복을 위해선 실적이 뒤따라야 하는 데 이마저도 쉽지 않다. 당장 내주 예정된 2분기 실적발표에서도 흑자 기대감은 낮다. 2020년 말엽부터 선가지수 상승과 글로벌 선박 발주 호재가 이어지고 있지만, 가시적인 실적으로 이어지는데 2년여의 시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앞서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대우조선해양 관리부실 논란이 제기되자 분리매각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분리매각 방안이란 우량자산과 부실자산으로 구분 짓고, 해외 매각이 가능한 사업부와 해외 매각이 불가능한 방산분야 등을 구분 지어 구조조정을 실시하겠단 구상이다. 2016년에도 유사한 방안이 추진됐으나, 대우조선해양 노조의 반발과 운영효율 악화 등으로 계획이 철회된 바 있다. 대우조선해양 소속 노동자들과 하청지회 불법점거·파업 참여 노동자들 간 갈등 해소도 숙제로 떠오른다. 하청지회의 1도크 불법점거로 일감이 끊기면서 대우조선해양 소속 및 이번 불법점거·파업 미참여 하청 노동자들의 수익이 크게 줄어들었다. 또한, 당국이 분리매각을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같은 조선소 내에서 근무해야 하는 노동자들 간 감정이 골도 더욱 깊어졌단 후문이다.

'휴가 끝' 대우조선, 하청지회 불법점거 후폭풍은 '지금부터''휴가 끝' 대우조선, 하청지회 불법점거 후폭풍은 '지금부터'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