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금융 시한폭탄' 다중채무자 446만 역대 최대치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804

가계 빚의 약한 고리가 더욱 위태로워지고 있다. 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 비중이 2012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 특히 20·30세대와 중·저소득자 등 대출 취약계층이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에서 돈을 빌린 경우가 늘면서 우려는 커지고 있다. 시장 금리 등의 급등 속에 금융 안정을 흔들 수 있는 뇌관의 폭발력이 커지는 모양새다. 한국은행이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가계대출자 중 22.4%가 다중채무자다. 지난해 말(22.1%)보다 0.3%포인트(P) 늘었고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2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대출자 수가 아닌 대출 잔액 기준으로 따지면 다중채무 비중은 31.9%다. 이는 한은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 패널 약 100만 명의 신용정보를 분석한 결과다. 이 비중을 지난해 말 기준 전체 가계대출자 수(1989만4000명)에 적용하면 445만6000여 명이 다중채무자로 추산된다. 다중채무자 수와 잔액이 늘어난 것보다 더 걱정스러운 건 대출 취약계층에서 두드러지는 다중채무자 비중 증가세다. 1분기 말 기준 다중채무자의 대출 잔액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의 비중이 32.6%로 가장 높았다. 50대(28%)와 30대 이하(26.8%), 60대 이상(12.6%) 순이다. 이 중 30대 이하 다중채무자 비중이 지난해 말보다 0.6%P 늘어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가장 가파르게 증가했다.

'금융 시한폭탄' 다중채무자 446만 역대 최대치'금융 시한폭탄' 다중채무자 446만 역대 최대치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