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기댈 곳 없는 민생..112 '자살 신고' 10만 건 넘었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72

지난해 경찰에 접수된 자살 신고가 역대 처음으로 10만 건을 넘어섰다는 '암울한' 통계가 나왔다. 16일 정우택 국민의힘 의원실이 경찰청에서 받아 공개한 '자살 추정 112 신고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경찰이 접수한 극단적 선택 신고 건수는 10만7511건에 달했다. 이는 5년 전인 2017년(6만8427건)보다 57.1% 증가한 수치다. 10만 건을 넘은 건 집계 이래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접수된 신고 건수도 6만 4378건으로, 올해 전체 신고 건수도 10만 건을 넘길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 5년간 극단적 선택 추정 신고는 꾸준히 증가했다. 2017년 6만 8427건에서 2018년 8만 7084건, 2019년 9만 308건, 2020년 9만 5016건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이 이같은 증가세의 주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의 '2021 심리부검 면담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극단적 선택으로 인한 사망자 중 심리부검을 진행한 103명 가운데 59명(57.3%)이 사망 전까지 경제적 상황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부채(44.1%)로 스트레스를 경험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수입 감소(20.3%), 지속적 빈곤(16.9%) 순이었다. 심리부검이란 사망자 가족, 친구 등을 심층 면담해 사망자의 극단적 선택을 유발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원인을 규명하는 과정을 말한다. 정우택 의원은 "지난 몇 년 동안 민생이 극단적으로 어려웠다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행정안전부와 경찰청은 보건복지부와 함께 자살예방시스템을 점검, 개선하고 서민에 대한 경제적 회복 지원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보건복지부가 이달 초 발표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건통계 2022'에 따르면 한국의 자살 사망률은 2019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25.4명을 기록,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댈 곳 없는 민생..112 '자살 신고' 10만 건 넘었다기댈 곳 없는 민생..112 '자살 신고' 10만 건 넘었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