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60세 이상 사망자 7월 이후 증가세..미접종자·1차 접종자가 사망자의 41%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44

코로나19 고위험군인 60세 이상의 사망자가 7월 이후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초 시작된 ‘오미크론 대유행’ 이후 60세 이상의 사망자 10명 중 4명은 미접종자·1차 접종자로 파악됐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가 16일 발표한 ‘오미크론 유행시기의 60세이상 사망자 추이’를 보면 60세 이상의 치명률은 올 1월 첫째주 4.54%에서 7월 넷째주 0.15%까지 지속해 줄었다. 반면 60세 이상의 사망자 수는 3월 하순 이후 지속해 감소하다가 지난달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60세 이상 주간 사망자 수를 보면 올 1월 첫째주 341명이었으나 오미크론 유행 여파로 3월 넷째주 2387명까지 치솟았다. 유행 정점을 지나며 6월 셋째주 69명까지 줄었으나, 7월 넷째주 158명, 8월 둘째주 303명으로 증가세다. 오미크론 유행이 본격화한 지난 2월부터 6개월간 60세 이상 코로나19 사망자의 예방접종률을 살펴보면, 60세 이상 전체인구에서는 미접종자 및 1차접종자가 4.1%이나, 사망자에서는 미접종 및 1차접종자가 41.3%를 차지했다. 최근 유행에도 고령층의 피해가 크다. 지난주(8.7~8.13) 전체 확진자에서 60세 이상의 비율은 21.7%로 7월 이후 증가 중이다. 같은 기간 사망자의 91.8%(303명)가 60대 이상이었다. 백경란 질병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미크론의 피해는 두 얼굴로 나타나고 있다”며 “건강한 인구집단에서는 위중도가 극히 낮지만 고령층과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와 같은 건강취약집단에서는 여전히 매우 치명적이고 예고 없이 전파가 쉽게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이라고 말했다. 백 청장은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에 백신 접종, 외출 자체 및 마스크 착용 등의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16일 0시 기준 4차 접종률은 12.9%(60세 이상 40.7%)다. 백 청장은 또 의료기관에도 60세 이상 등을 진료할 경우 먹는 치료제의 신속한 처방을 적극 고려해달라고 했다. 8월 첫째주(7.31~8.6) 60세 이상 확진자 수 대비 먹는 치료제 처방률은 18.7%에 그쳤다.

60세 이상 사망자 7월 이후 증가세..미접종자·1차 접종자가 사망자의 41%60세 이상 사망자 7월 이후 증가세..미접종자·1차 접종자가 사망자의 41%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