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수돗물 믿어도 되나"..깔따구 유충에 '먹는 물 안전' 빨간 불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73

지난달 경남 창원시와 경기 수원시에서 발생한 '수돗물 깔따구 유충 사태'의 원인이 시설 노후화인 것으로 밝혀지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2년 전에도 인천과 제주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돼 지자체 등이 정밀조사에 나선 바 있다. 16일 환경부는 지난달 19일부터 지난 8일까지 진행한 전국 485개 정수장 위생관리 특별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정밀역학조사반에 따르면 유입된 유충이 정수처리과정에서 걸러지지 않고 창원시와 수원시의 가정까지 이동한 원인은 시설 노후화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미흡한 방충설비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깔따구가 오존 설비 노후화 등으로 정수처리 과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가정까지 이동한 것이다. 문제는 창원시와 수원시를 제외한 정수장 27곳에서도 유충이 발견됐다는 것이다. 특히 이 중 강원도 영월의 쌍용정수장에서는 정수처리공정이 모두 끝난 정수지에서 유충이 발견됐다. 나머지 26곳의 정수장에서는 유충이 원수 및 정수처리과정에서 발견됐고, 정수처리가 완료된 정수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전국 곳곳에서의 가정 내 수돗물에서 언제든 유충이 발견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수돗물 유충 사태'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서다. 2년 전인 지난 2020년 인천에서는 공촌정수사업소에서 유충이 처음 발견된 이후 지속적으로 발견 건수가 늘면서 시민들이 불안에 떨었다. 같은해 제주 서귀포에서는 한 주택의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된 이후 유충 의심 신고가 잇따랐다. 환경부는 먹는 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깔따구 유충을 먹는 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해 매일 감시를 실시할 예정이다. 더불어 가정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마지막 정수 단계에서 유충 유출 차단장치를 도입하는 등 추가적인 위생 관리조치를 강화할 계획이다.

'수돗물 믿어도 되나'..깔따구 유충에 '먹는 물 안전' 빨간 불'수돗물 믿어도 되나'..깔따구 유충에 '먹는 물 안전' 빨간 불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