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보행중 교통사고 사망' 44% 감축..5년간 1조 투입한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45

정부가 오는 2026년까지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지난해의 약 44% 수준으로 감축하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제1차 국가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기본계획(2022~2026년)'을 중앙보행안전편의증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25일 확정·발표했다. 이 기본계획은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행안부·국토교통부·교육부·경찰청 등 8개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는 이 계획에 근거해 매년 세부 실행계획을 마련·추진하게 된다. 1차 계획은 '안전하고 걷기 좋은 보행 중심 사회 실현'이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2026년까지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지난해의 44% 수준으로 감축하는 게 골자다. 2017~2021년 5년간 우리나라의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6575명에 달한다. 매년 1315명꼴로 길을 걷다 교통사고로 숨지는 셈이다. 다만 그 수는 매년 소폭 줄어 지난해 기준 1018명이다. 이를 연평균 11%씩 줄여 2026년까지 572명 이하로 낮추겠다는 목표다. 이 목표가 달성되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 평균 수준이 된다.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당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5명으로 OECD 평균 1.1명의 2.3배이며 칠레에 이어 두 번째(29위)로 높다.

'보행중 교통사고 사망' 44% 감축..5년간 1조 투입한다'보행중 교통사고 사망' 44% 감축..5년간 1조 투입한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