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노재헌 "한중, 공동의 가치 · 이익 찾아내야"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1,175

한·중 수교 30주년 기념행사가 어제(24일) 서울과 베이징에서 동시에 개최됐습니다. 행사에는 양국 외교장관이 각각 참석했습니다. 10년 전인 한·중 수교 20주년 기념행사에 시진핑 당시 부주석이 참석한 것에 비하면, '급'이 한참 낮아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당시 시진핑 부주석은 이미 최고 지도자로 내정돼 있던 상태였습니다. 중국을 바라보는 한국의 시각도 많이 바뀌었지만, 반대로 한국을 바라보는 중국의 시각도 많이 바뀌었음을 방증하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30년 전 한·중 수교를 결단했던 노태우 전 대통령은 변화한 한·중 관계를 어떻게 바라봤을까, 노 전 대통령의 장남인 노재헌 변호사를 인터뷰했습니다. 노재헌 변호사는 동아시아문화센터 원장, 한·중 관계 미래발전위원회 사회문화분과 위원장 등을 맡아 두 나라 관계 발전을 위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Q. 부친인 고(故) 노태우 전 대통령 재임 시절 한·중 수교가 이뤄졌는데, 수교 30주년을 맞는 개인적인 소감은. A. 다른 분들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습니다. 30년 동안 한·중 관계가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는 것은 모두가 느낄 것 같고요, 현재와 미래를 위해 많은 도전과 과제가 있다는 것도 느낄 것 같습니다. 과거에 잘했던 것을 계승해 미래에 어떻게 더 발전해야 되느냐 이런 것들을 고민하게 됩니다. Q. 노 전 대통령은 어떤 의도로 한·중 수교를 추진했다고 봐야 하나요. A. 한·중 수교는 역사적인 사명이라는 말씀을 많이 하셨습니다. 그만큼 중국과의 수교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 건데, 당시 '북방 외교'의 최종 목적지는 북한이었지만 목적지로 가기 위한 가장 중요한 중간 기착지로 중국을 생각하셨던 것 같습니다. 양국이 수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과 혜택도 크고, 자주적인 외교를 하는 데 있어 중국과의 관계가 중요하다고 여기셨던 것 같습니다. Q. 중국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적국이었고, 북한과의 관계 때문이라도 그 당시 국민적인 반발이 컸을 것 같은데요. A. 지금 와서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지만 내외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었던 것 같습니다. 국내 반발 여론도 있었고 북한, 타이완과의 관계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역사의 단절이 더 이상 지속돼선 안 된다는 생각을 많이 하셨던 것 같아요. 또 미국도 중국과 수교를 했고 일본도 중국과 수교를 한 상태라, 우리도 북한과의 통일을 위해서라도 중국과의 관계는 꼭 정상화시켜야 된다고 판단하신 것 같습니다. 경제적인 목적도 고려했다고 생각됩니다. 당시 우리 제조업 기반 산업들에 중국이 큰 영향을 미쳤고요, 아버지는 서해안 개발까지 염두에 두셨던 것 같습니다. 수교 협상 마지막에 타이완과의 단교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하셨던 것으로 기억납니다. Q. 노 전 대통령이 생전에 한·중 관계의 방향성을 언급한 게 있는지요. A. 오랫동안 병석에 계셨기 때문에 최근 소회는 말씀하신 게 거의 없습니다. 퇴임하시고 2000년, 2002년 두 차례 중국을 방문하셨습니다. 다녀오셔서 많은 말씀을 했는데, '한·중 수교를 통해 중국과의 문을 열었지만 결국 한·중 관계를 심화시키고 더욱 발전시키는 것은 다음 세대의 몫이다'라고 얘기하셨습니다. 서로에 대한 배려와 이해, 포용성 있는 자세를 굉장히 강조했습니다.

[월드리포트] 노재헌 '한중, 공동의 가치 · 이익 찾아내야'[월드리포트] 노재헌 '한중, 공동의 가치 · 이익 찾아내야'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