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명절에는 닫고 일요일 문 여는 '꼼수' 영업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62

박상순(56)씨가 처음 마트 노동자로 생계에 뛰어든 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이다. 남편이 외환위기 여파로 직장을 잃은 뒤 다시 자리를 잡기까지 공백기가 길어지자, 박씨는 아이 셋을 키우기 위해 당장 뭐라도 벌어야 했다. 외국계 대형마트와 백화점 선물세트 판매직을 거쳤다. “기왕 돈을 벌러 나왔으니 정규직이 되고 싶다”는 말을 입버릇처럼 했다. 서울 양천구에 이마트 새 지점이 생기면서 그에게도 기회가 찾아왔다. ‘정규직 캐셔(계산원)’를 뽑는다고 했다. 80 대 1 넘는 경쟁률을 뚫고 입사했다. “무늬만 정규직일 줄은 몰랐죠.” 막상 들어와 보니 자꾸만 불합리하고 부당한 대우가 눈에 띄었다. 제때 쉬고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갖기 위해선 여전히 투쟁이 필요하다. 박씨가 2022년 8월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집무실 앞에서 열린 결의대회에 참가한 것도 한 달에 두 번, 최소한의 휴식권을 지키기 위해서다. 그는 따갑게 쏟아지는 햇빛을 견디며 외쳤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 시도, 윤석열 정부 규탄한다.” “싼값, 적은 인력, 최대한 많은 업무”가 덕목 윤석열 정부가 ‘규제개혁 1호’ 안건으로 추진했던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가 8월25일 ‘현행 제도 유지’로 급선회했다. 7월21일 대통령실 누리집 ‘국민제안’ 코너에서 국정과제로 부상한 지 한 달 만이다. 8월4일 첫 규제심판회의를 열고 해당 안건을 논의했던 국무조정실은 8월24일로 예정됐던 두 번째 회의를 무기한 연기했다. 8월23일 민주노총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이 대통령집무실 앞에서 규탄 결의대회를 연 뒤 내려진 결정이다. 8월25일 윤석열 대통령은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를) 신중하게 고려하라”고 지시했다. 소상공인·노동조합·시민사회단체의 강한 반대가 이어지자, 폐지 강행이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노동계는 ‘현행 제도 유지’만으로는 충분치 않다고 주장한다. ‘월 2회 공휴일에 의무휴업을 한다’는 현행 법조항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기 때문이다. 마트 노동자는 노동자의 건강권과 휴식권을 보장하기 위해 매달 규칙적으로 ‘일요일’에 쉴 수 있는 권리를 요구하지만 여전히 모든 노동자가 이 권리를 누리지 못한다. 홈플러스에서 일하는 공윤란(56)씨와 롯데마트에서 일하는 유영란(52)씨도 이날 결의대회에서 목청껏 휴식권을 보장해달라고 외쳤다. 공씨도 유씨도 외벌이로는 자녀 교육비와 생활비 등을 모두 감당할 수 없어 생계전선에 뛰어든 경우다. 일하는 마트는 각자 다르지만 모두 ‘최저임금’ 수준의 임금을 받으며 주 5일 일한다. 가능한 한 싼값에, 적은 인력으로, 최대한 많은 업무량을 수행하는 것. 중년 여성이 다수인 마트 노동자에게 요구되는 덕목이자 규율이다. “최저임금이 오르지 않으면 마트 노동자 월급은 오르지 않아요. 롯데마트 시급은 최저임금보다 정확히 130원 더 많습니다.”(유영란) 대형마트 3사에서 일하는 이들이 8월23일 반차까지 내고 결의대회에 참여한 건 정부가 추진하는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가 마트 노동자의 삶과 직결되는 문제임에도 정작 논의 과정에서 이들의 의견이 단 한 번도 수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안건을 논의하는 규제심판회의에 전국경제인연합회와 한국체인스토어협회 등 기업과 소상공인 대표들은 참석하지만 노동자 의견이 반영될 창구는 없다. 서비스연맹이 대통령집무실에 항의 공문을 보내고, 국무조정실 산하 규제조정실과 산업통상자원부 유통물류과 등에 ‘일요일에 쉴 권리를 보장해달라’고 팩스를 보냈으나 아무런 응답이 없었다. ‘대형마트 대 소상공인의 싸움’이란 프레임으로 쏟아지는 보도 안에서도 마트 노동자의 목소리가 설 곳은 없었다.

명절에는 닫고 일요일 문 여는 '꼼수' 영업명절에는 닫고 일요일 문 여는 '꼼수' 영업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