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에너지난' 독일, 가스 찾아 캐나다까지 갔지만 문제 해결 난망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1,311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러시아산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캐나다와 수소 동맹을 발표, 캐나다 액화천연가스(LNG)의 중요성을 언급했지만, 정작 에너지난 해소에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라고 있다고 2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숄츠 총리는 지난 23일 캐나다 뉴펀들랜드에서 저스틴 트뤼도 총리와 만나 2025년까지 캐나다산 청정 연료 수입을 가속화하기 위한 '수소 동맹'을 발표했다. 그는 독일이 러시아산 에너지로부터 급속도로 멀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캐나다를 파트너로 선택했다며 "이는 우리의 LNG 수입 증대를 의미한다. 캐나다가 큰 역할을 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나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유럽으로) LNG 수출이 말이 되는지 살펴보고 있다"며 선을 그었다. 대서양을 횡단해 유럽까지 LNG를 수송할 수 있는 인프라를 완전히 갖추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독일은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는 겨울철을 앞두고 에너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캐나다로부터 LNG 수입과 관련한 확답을 받지는 못한 상황이라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러시아 가스프롬이 독일로 가는 노르트스트림1을 통한 천연가스 공급량을 20% 수준으로 줄이며 독일의 겨울철 에너지난은 가시화하고 있는 상태다. 조나단 윌킨슨 캐나다 천연자원부 장관도 "정부는 LNG가 아닌 수소를 수출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고 로이터에 전했다. 전문가들은 인프라 구축과 탈탄소 정책이 유럽의 캐나다산 LNG 수입에 걸림돌이 된다고 보고 있다. 캐나다는 연말까지 천연가스를 하루 최대 10만 배럴까지 수출할 계획이다. 다만 캐나다에는 아직 LNG 터미널 등 가스를 수출할 만한 인프라가 부족하다. 또 캐나다의 가스전은 서쪽에 있는데 유럽으로 가스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동부 대서양 연안까지 LNG를 옮겨야 한다. 우드 매켄지의 애널리스트 덜레스 왕은 "(독일로 수출하기 위해서는) 캐나다 동쪽의 퀘벡주에서 파이프라인을 이어야 하는데, 이 지역은 파이프라인 개발에 우호적인 지역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탈탄소화 정책 역시 발목을 잡고 있다. 독일은 2045년까지 탄소중립(탄소 순 배출량 0)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이는 LNG 수입을 확대하는 방안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이 사업에 정통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 자체가 탈탄소화 집중과 새로운 화석연료 사업 지원이라는 갈림길에 섰다. 그게 문제"라고 로이터에 말했다. 캐나다의 탈탄소 정책도 고려 대상이다. 윌킨슨의 대변인은 "캐나다는 LNG와 관련한 새로운 프로젝트가 20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에 도달하려는 캐나다의 목표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기를 원한다"고 전했다.

'에너지난' 독일, 가스 찾아 캐나다까지 갔지만 문제 해결 난망'에너지난' 독일, 가스 찾아 캐나다까지 갔지만 문제 해결 난망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