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일주일간 혼자 버린 플라스틱만 46개.. 플라스틱으로부터 도망칠 수 없었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43

일주일간 46개. 30대 여성인 기자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배출한 플라스틱 쓰레기 개수다. 의식적으로 텀블러를 들고 다니고, 새 제품 대신 리필 제품을 사서 썼음에도 하루 평균 7개 가까운 플라스틱 쓰레기를 버려야 했다. 기록을 하나하나 되짚어 볼수록 마음이 답답해졌다.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 같지 않아서였다. 기자는 이달 22~28일 일주일간 시민 참여형 플라스틱 사용량 조사 '그린피스 플콕조사'에 참여했다. 벌써 세 번째 진행되는 조사에 올해는 4,000명 넘는 시민이 참여해 일주일간의 기록을 남겼다.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할 때마다 앱에 종류와 제조사를 기록하는 방식이다. 그린피스는 취합된 정보를 분석해 올해 말 우리나라 국민들의 플라스틱 사용 실태에 대한 보고서를 낼 예정이다. 테이크 아웃 커피나 배달 음식만 조심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조사를 진행하다 보니 매일 배출하는 일상 쓰레기 속 플라스틱이 복병이었다. 기자의 경우 매일 두 차례 안약을 넣어야 하는데, 안약이 일회용 용기에 들어있다 보니 하루 최소 두 개의 플라스틱을 배출하게 됐다. 여기에 플라스틱이 원료인 일회용 마스크까지 더하면 기본 세 항목이 매일 앱에 입력됐다. 복숭아를 하나씩 싸고 있는 스티로폼 포장재나, 택배상자에 붙어있던 박스 테이프도 모두 예상치 못한 플라스틱 쓰레기였다. 이번 플콕조사에 참여한 시민들도 조사를 시작하면서 소비 패턴을 자각한 경우가 많았다. 청소년 환경운동가 성지현(16)양은 "집에서 매일 개별 포장된 마스크의 비닐과 커피 캡슐 플라스틱 쓰레기가 나왔다"고 했고, 주부 오희영(34)씨도 "매일 마시는 두유 비닐팩이 가장 많이 배출됐다"고 말했다. 평소 플라스틱 재질이라고 인지하기 어려운 제품들이다. 물을 사 마시다 보니 페트병도 수시로 내놓게 됐다. 그나마 환경을 생각해 무라벨 생수를 사 마시고 있긴 하지만, 일주일간 집에서 1.5리터짜리 페트병 3개와 번들을 싸고 있던 비닐 하나가 배출됐다. 단체로 이번 조사에 참가한 중학생 교실에서도 페트병이 가장 많이 쏟아졌다. 서울 한 중학교의 1학년 담임교사 김지수(29)씨는 "일회용 플라스틱 페트병에 담긴 물을 마시는 학생들이 많아 일주일간 관련 쓰레기가 가장 많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2010년 3,900억 원 수준이었던 국내 생수시장은 지난해 1조2,000억 원 규모로 커졌고, 내년에는 2조 원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생수 시장이 성장할수록 플라스틱 배출량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일주일간 혼자 버린 플라스틱만 46개.. 플라스틱으로부터 도망칠 수 없었다일주일간 혼자 버린 플라스틱만 46개.. 플라스틱으로부터 도망칠 수 없었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