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입국 전 PCR 검사 폐지' 검토에..항공업계 '촉각'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71

정부가 입국 전 유전자증폭(PCR) 검사 폐지를 본격적으로 검토하면서 항공업계가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방역 규제가 완화되면서 기대보다 부진했던 국제선 여객 수요도 오를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다. 2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방역 당국은 이번 주 입국 전 검사 폐지를 논의한다. 국내 방역에 미치는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검토 결과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보고 후 폐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현재는 입국 전 48시간 이내 PCR 검사나 24시간 이내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 음성확인서를 제출하고 입국 1일 이내에 PCR 검사를 추가로 받아야 한다. 항공업계는 입국 전 검사 폐지 검토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당초 국내 항공업계는 코로나19 엔데믹 전환 이후 국제선 노선을 증편하거나 재개하고 있지만 기대만큼 수요가 확대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특히 아이가 있는 가족 단위 여행객들이 입국 전 검사 때문에 망설이는 경우가 많았다"며 "더 빨리 폐지됐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항공사들이 지난달 공급한 좌석은 총 521만5626석으로 전월 대비 14% 늘었지만, 같은 기간 여객 수는 435만2172명으로 5% 오르는데 그쳤다. 늘어난 좌석 대비 승객이 확보되지 않으면서 빈 좌석만 늘었다. 지난 6월에는 전체 좌석의 89%를 채웠지만, 지난달에는 83%로 6%포인트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입국 전 검사가 필요한 나라는 한국과 일본뿐이다. 뉴질랜드·미국·캐나다 3개국은 백신 미접종자의 입국만 제한하며, 칠레·리투아니아·룩셈부르크·스페인·콜롬비아 등 5개국 역시 미접종자가 입국 시 PCR 음성 확인서를 제출해야 한다. 일본도 내달 7일부터 백신 3차 이상 접종자에게 입국 전 검사를 요구하지 않기로 했다. 업계에서는 이런 과도한 방역 규제가 국제선 여객 수요가 저조한 원인 중 하나로 보고 있다. 해외 여행 시 입국 전 PCR 검사를 위해 추가 비용·시간을 써야 하는 데다가 현지에서 검사를 해줄 병원을 찾기도 언어장벽 등의 이유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방역 규제를 한국보다 강화한 일본·중국 등의 국가는 다른 국제선 노선보다 수요 회복이 더디다.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일본을 오간 여객 수는 10만6722명으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7월(180만3025명)의 5.9%에 그쳤다. 같은 기간 중국은 1.9%에 불과했다. 일본·중국을 제외한 아시아(태국·베트남·홍콩 등) 지역은 코로나 이전의 30%, 미주 지역은 65%, 유럽 33%, 대양주(호주·하와이·괌·사이판 등)는 46% 수준으로 회복된 것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업계에서 방역조치 완화로 수요 회복을 기대하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폐지 검토는)좋은 방향이라고 보고 있다"며 "폐지가 된다면 여행 수요가 좀 더 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입국 전 PCR 검사 폐지' 검토에..항공업계 '촉각''입국 전 PCR 검사 폐지' 검토에..항공업계 '촉각'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