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풍요에서 빈곤으로, 카 문화 6편

KilmerLv 84
조회 수1,675

"안 사" 요즘 미쳐서 날뛰는 흉기차 가격에 자동으로 튀어나오는 말입니다. "응 꺼져" 거기에 코웃음치는 현기차이기도 합니다. 저명한 독일 자동차 언론 아우토빌트도 인정하고, 미국 JD Power 에서도 상워권으로 채점, 선진국 시장에서 역대급 점유율 확대하는 현기. 그 동력은 1973년 미국시장이 좆구린 일본차 마지못해 선택한 배경과 여러구석 닮아 있습니다. 나는 점점 못살고 있는데 차량 제작 난이도는 점점 올라가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굴릴 수 있는 적당한 품질의 차가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런 개같은" 그렇습니다. 10년전 쿠킹호일 팔아다 땅사놓고 오예 외친 흉기차에 분노한 우리로서 어쩌면 당연한 반응일지 모릅니다. 그러나 불매를 다짐했던 우리 요즘 뭐하고 있습니까? 제네시스 기웃거리고 있습니다. 다시는 안 산다고 배짼 분들 어떻게 되었습니까? 쏘렌토하이브리드 17개월 기다리고 있습니다. 현기차가 가격 쳐올린게 아니라 내가 가난해진 것입니다. "조까" 현기차 귀족노조 소리 듣기 시작한게 2012년 평균연봉 9400만원 되어 억대 연봉 받아놓고 쿠킹호일 왠말이냐가 시작이었습니다. 그때 최저시급 4580원으로 연봉환산 1200만원 될까말까였습니다. 여덟배 차이였습니다. 11년이 지난 올해 최저시급 9620원, 연봉으로 약 2400만원입니다. 물가가 2배 올랐습니다. 그런데 사람인, 잡코리아 등재된 현대차 평균연봉 약 9600만원입니다. 거의 그대로입니다. 생활물가 2배 오르고 최저임금 2배 오를 동안 억제되어 거의 못오르는 굴욕 받으셨습니다. 물론 저 데이터에는 평균의 함정이 숨어있지만 말입니다. 현기차 다니시는 분들 연봉이 아직도 귀족입니까? 아닙니다. 2년간 반토막 난 평민연봉입니다. 요즘 대기업 과장님들 연봉 8000만원에 달하고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도 장난 아닙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라는 중소기업의 평균연봉 1억2400만원이고, 신입초봉 4800만원입니다. "미친" 기업분석업체 리더스인덱스 발표에 의하면, 한국 대기업 500개를 간추린 뒤 자료를 뽑을 수 있었던 233개를 분석했더니 그중 61개 이상에서 일반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 이상이었습니다. 현기차 못산 이유는 귀족노조 때문이 아니라 물가가 올라서이고, 현기차 가격이 비정상이 아니라 내가 비정상인 것입니다. "띠발" 그러므로 더 가난해지기 전에, 더 최저임금 올라 물가도 연동하여 끌어올려지기 전에, 저출산·고령화사회위원회에서 대책으로 내놓은 대출탕감 돈잔치와, 복지부발 애 있으면 70만원 꽁돈 부모급여가 물가를 더 높이기 전에, 우크라이나 전쟁에 폴란드와 벨라루스가 참전하여 동유럽 자동차 부품공급 라인들과 저렴한 노동력이 차값 인하에 기여 못하기 전에, 차를 사시라는 것입니다. "침첸데 뭔솔" 침체라서 차가 2대 나오다가 1대 나오고 침체라서 차살 분이 2명에서 1명으로 줄어들면 그게 그거입니다. 나님을 위해 입맛에 맞는 신차가 썩어남아돌 것이라는 생각은 꿈나라에서 하시라는 것입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에 의하면 2022년 미국 자동차 판매량이 15% 감소했으나 다만 업계의 매출은 전체적으로 증가했을 것이라고 보도합니다. 대수 감소를 물건값 올리기로 만회하고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자동차 제조사들의 제작 난이도는 크게 올라갑니다. 수입이건 국산이건 킹성비이면 지금이라도 겟차(get 차) 하시라는 것입니다. 기업 입장에서 어떤 고민들이 있을지 가격과 품질을 심각하게 나쁘게 할 bad news 몇몇 다음편에서 다뤄보기로 합니다. 그림이 업로드 되지 않아 불가피하게 기사를 걸어봅니다. 알뜰폰에 가입하면 월평균 통신료를 아낄 수 있어 최근 많은 분들 알뜰소비로 갈아타신다고 합니다. 불황침체형 소비의 모습입니다.

[단독] “나 알뜰폰으로 갈래”…SKT 점유율 40% 첫 붕괴 - 매일경제[단독] “나 알뜰폰으로 갈래”…SKT 점유율 40% 첫 붕괴 - 매일경제

댓글 3

KIA 로고 이미지TESLA 로고 이미지
여드름Lv 92

잘 읽었습니다ㅎㅎ 시장의 물가 상승은 주로 고소득자, 자본가가 이끄는것 같습니다 근데 이러한 모습은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채택한 국가라면 자연스러운 모습이죠 저출산의 모습도 그러하구요 점점 계층간 차이가 심화될 것이며 정부에서는 극하층민의 비율을 줄이는데에 노력을 해야할 것입니다

KIA 로고 이미지
쏘삼Lv 21

필력이...대단하십니다

KilmerLv 84작성자

작년 9월을 마지막으로 활동 접으셨다가 댓글 달아주시기 위해 모처럼 재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