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차에 너무 돈아끼지 말자 3

KilmerLv 84
조회 수2,255

아우디오널님의 방식을 배우더라도 자신의 스타일 지키면서 하는게 낫겠다고 조언해주신 장세진님 댓글 명심하며 계속 써내려갑니다. 중간에 날아갔는데 느낌 쌔해서 미리 복사해두기 잘한 것 같습니다. 임금폭등 물가폭등을 겪었던 1973~1982년 세계적 경제 난조(stagflation)와 그것이 자동차에 끼친 영향에 대해 풍요에서 빈곤으로 시리즈물에 적었지만 차값이 얼마나 살벌하게 올랐는지는 구체적으로 올려드리지 않았습니다. 스압이 심하면 안읽는게 인간심리이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림은 1981년 소득과 자동차입니다. Income per year (연소득) $21050 Minimum wage (최저임금) $3.35 New car (출고가격) $5743 그 아래 그림은 1975년 소득과 자동차입니다. Average income (평균연소득) $12686 Minimum wage (최저시급) $2.10/hour New car (출고가격) $3800 New car 가 최저시급의 1700~1800배입니다.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차값이 걸맞게 밀려올라간 모습입니다. 한국의 최저임금이 2회 연속 5% 올랐습니다. 현기차 못해도 5% 씩 오르는 모습과 똑같은 것입니다. 그렇다면 저때 금리가 낮았냐? 그렇지 않습니다. 미국의 금리가 저기간 낮을때는 7%, 높은 해에는 18% 를 오가던 때였습니다. 환경오염시키지 말라고 쥐어짜지(LA 스모그), 에너지 효율 높이라고 난리지(연비향상에 막대한 연구개발), 안전한 차 주문하지(안전사양 추가), 차값이 더 빨리 오르게 된 것입니다.

댓글 2

겟차51713Lv 1

530i 가세요

KilmerLv 84작성자

무조건입니다. 20i 가시지 마시고 30i 가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