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그 많던 제조물량 도대체 어디갔나 3편

KilmerLv 84
조회 수1,387

아래는 전세계 연도별 자동차 생산물량입니다. 2020년 코로나 이후 확 꺾였습니다. 특히, 중국이라는 떠오르는 생산대장이 노란색인데 이 물량이라도 풀리면 공급가뭄 해갈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국 자동차 산업을 보호해야하는 특명을 받은 나라들은 문닫고 중국차를 극히 제한적으로 들입니다.

아래는 중국에 넘쳐나도록 생산되어 버려진 차들입니다. 보조금 얻기 위해 과량생산된 전기차들입니다.

중국에 차가 남아돌아 독3사, 볼보, 캐딜락이 열띤 프로모션 경쟁중입니다. ===================================== 취안저우 BMW 대리점은 120iM 스포츠 차량을 12만9000위안(약 2455만원)에 판매하여 검색어 상위에 오르기도 했다. 38.2% 낮춘 가격이다. 캐딜락과 볼보도 재고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6만∼10만위안(10만위안은 약 1900만원) 낮춰 판매하고 있다. =====================================

중국선 파격할인 벤츠·아우디·BMW...한국선 "가격할인 계획 없다"중국선 파격할인 벤츠·아우디·BMW...한국선 "가격할인 계획 없다"

중국에선 차량이 남아도는 반면에, 극심한 차량 생산가뭄중인 미국은 이렇습니다. 파란선 - 차량가격지수(신차 중고차 모두) 빨간선 - 미국내 차량생산지수 (신차) 녹색선 - 미국내 남아있는 차량재고지수 (판매가능물량) 코로나 봉쇄 직전대비 재고가 20퍼센트입니다. 5분의1로 내려간 것입니다. 2023년 되었어도 별 진전이 없습니다.

미국내 자동차 생산량 장기적 추이 역시 계속 감소중입니다. 1970년대 한때 10M units(1000만대) 씩 뽑아내던 7~8팩토리 미국이 2021년 1.4M units(140만대)씩 뽑아내는 1팩토리 됩니다.

독일 프랑스의 자동차 생산량도 이렇게 줄어들었습니다. 2010년대 가장 왕성한 생산년도의 약 반입니다.

일본은 그정도는 아닙니다. 2010년대의 약 70%입니다.

미국생산 감소가 심한 이유는 관계 틀어진 중국부품에 대해 평소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이고, 독일 프랑스 큰감소 이유는 우크라이나와 공급체인으로 가깝기 엮였기 때문일 것이라 추정됩니다.

(2018년 중국부품 수출규모 미국으로 117억달러)

댓글 2

AUDI 로고 이미지AUDI 로고 이미지
은색차만탄다Lv 38

다음편 기다리겠습니다 좋은글 감사^^

KilmerLv 84작성자

다음편 기대하셔서 6편까지 길게 만들어 끝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