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지금 한국에서 차값과 물가가 널뛰기 하는 이유

탈퇴자Lv 41
조회 수1,454

수출 망하고 그리고 인해 원화가치 떡락으로 물가인상->내수침체 망하는길 ㅋㅋ imf 곧 터질듯 무역적자보면 ㅋㅋ

댓글 5

만학도Lv 6

한은이 계속 기준금리를 동결하는게 환율상승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입니다. 인위적인 시장조정이 경제에 더 부정적인데 경제정책에 정치적인 결정이 작용하는 것이 아닌지 의심이 듭니다. 한은 금리동결 기간이 너무 길어지고 있네요..

째둘럽Lv 86

올리면 부동산대출 뇌관 터져서 그렇죠. 정부라고 왜 안올리고 싶을까요.

만학도Lv 6

그래서 문제라는 거죠... 폭탄을 늦게 터뜨릴수록 폭발력이 더 클뿐입니다. 정부가 시장을 통제할수 있다는 생각자체가 위험합니다. 한곳을 누르면 다른곳이 튀어나올 뿐, 금리인상시기가 늦어질수록 부정적 위험의 크기만 커질뿐입니다. 결국 안올릴수도 없구요. 사실상 정부가 통제하는 지주계 은행들의 PBR이 지나치게 낮은 것도 정부의 인위적인 통제가 시장에 얼마나 부정적인지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입니다.

bulletprLv 73

오널이가 제대로 말함 수출망함->최근 신문에도 나오듯 러 중 일 강대국 사이에 낀 한반도는 무역에 큰 영향을 받는 나라로 아르헨티나 뉴질렌드에 이어 3등으로 통화 가치한 불명예 국가가 됬죠 제일 심한게 반도체 영향으로 외환보유액이 적어지고 미 중 러의 갈등이 제조업으로 무역에 민감한 한화에 신용하락을 크게 발생시킨것 같습니다 부동산 뇌관이나 기준금리는 실제 미국도 그렇지만

bulletprLv 73

막상 자본이 있는 세대들의 노동력이탈로 CPI지수와는 별개로 실제 느끼는 미국물가는 미국내 자본이 버텨줄거란 전망을 내놓듯이 (실물금리와 기준금리의 괴리감이라고 할까) 고로 우리나라도 충분히 버틸거라는 전망치는 많아요 뭐 미 중 러에 영향은 있겠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