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쓰레기로 차 만들기 선언하는 독일차

KilmerLv 84
조회 수1,414

BMW가 지구를 지키기 위해 소비자 마음따위는 아웃 오브 안중 하기로 선언했습니다. 작년입니다. "비엠이 2030년까지 재활용품 40% 들어간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만들어 신차에 탑재하기로 했다."

https://www.nasdaq.com/articles/bmw-group-to-use-maritime-plastic-waste-to-produce-visible-vehicle-trim-partshttps://www.nasdaq.com/articles/bmw-group-to-use-maritime-plastic-waste-to-produce-visible-vehicle-trim-parts

비엠이 저러는데 벤츠 질 수 없습니다.

이미 재활용된 폐타이어를 가지고 만든 손잡이를 S클과 EQE에 적용하기 시작합니다.

Mercedes-Benz produces door handles from scrap tires | Tire Technology InternationalMercedes-Benz produces door handles from scrap tires | Tire Technology International

포르쉐 또한 이렇게 됩니다.

"동물가죽은 나빠요, 재활용된 쓰레기 씁시다"

그래도 내장재에만 쓰고 엔진룸에는 안쓰는 것 같아 비엠보다 양반입니다. 독일차들이 즐겨쓰겠다는 해양쓰레기와 플라스틱 살펴봅니다. 육지에서 버린 것들이 강따라 바다로 들어갑니다.

그것들에는 담배꽁초, 플라스틱 봉투, 스티로폼 컵, 애기 기저귀, 플라스틱 페트병, 고기잡이용 그물과 낚시줄 등이 있습니다. 놔두면 사라지기까지 450~600년 걸립니다.

냅두면 동물들이 먹고 죽어 멸종위기됩니다. 거북이 뱃속의 비닐이 사체가 된 뒤 드러난 모양입니다.

생태계를 지키고 싶으면 차를 소비 안하는게 옳지만 우린 소비하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엿같은 재료가 살에 닿는것 최소화하고 싶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연식변경 모델체인지 이전에 얼른얼른 사시기 바랍니다. 상태좋은 중고도 대안입니다.

댓글 12

AUDI 로고 이미지BENZ 로고 이미지
장세진Lv 105

킬머님 말씀대로 얼른 차를 질렀다 치고.... 그 다음 차는 어쩌죠?? ㅋ 이 차로 평생 탈 수도 없고 ^^;;;;;

AUDI 로고 이미지BENZ 로고 이미지
장세진Lv 105

그냥 한 때의 유행이자 브랜드 이미지 개선을 위한 캠패인 수준일거라 생각합니다~ 뭐 꼭 가죽이 아니더라도 가죽보다 더 좋은 내구성과 촉감을 가질 수도 있잖아요~~~ ^^

KilmerLv 84작성자

코로나 이전에 유럽여행간 분은 버킷리스트 저렴하게 이루셨습니다. 지금 가려면 힘듭니다. 차도 그렇습니다. 독일차가 독일차답고 가격도 나름 합리적일때 경험해보는게 돈도 아끼고 버킷리스트 달성입니다.

bulletprLv 73

블랙록의 SRI를 의식한건가요 ESG에 엄청 힘쓰네요 자본이 까라면 까야죠 뱅가드도 그렇고 투자안하고 투자더하고의 문제인대 경영인이 세계 환경을 위해 탄소중립을 외친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그게 돈이 되니 하는거겠죠 그래도 재활용 탄소중립은 전기차보단 환영이네요

KilmerLv 84작성자

환경을 외면하면 고품질 고성능차가 저비용으로 생산됩니다. 환경을 중시하면 규제기준 만족하려 후덜덜한 난이도로 생산됩니다. 아무래도 독일을 비롯한 EU 정치권 인센티브 당근과, 안하면 페널티 채찍에 의해 마지못해 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바이킹 칼레니우스 편에 올려드린 바에 의하면 어떤 기업은 마지못해서가 아니라 신념가득해보이기도 합니다. 탄소중립이 가더라도 적당히 가서 우리모두 고성능 오염뿜뿜차 뽑은 뒤에 가길 바랍니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그렇게따지면 지금 우리가 소비하는 페트병이나 라면봉지 등등도 다 쓰레기로 포장한건데 그건 괜찮으신가바요..

KilmerLv 84작성자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면 어쩔 수 없이 불순물이 생깁니다. 그리고 그것이 플라스틱의 강도에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만약 차를 만들때 중요부위들이 처음 뽑은 플라스틱일때 잘버틸 것을 재활용 플라스틱이라 못버틴다면 이건 청결불결 문제가 아니라 내구성과 기능 문제입니다. “Heat and mechanical stress breaks down the polymer chains and makes the material weaker,”

How clever chemistry is making plastic fantastic againHow clever chemistry is making plastic fantastic again
BMW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잠만자자Lv 18

좋게 봐야지 이걸 쓰레기라 하시면. 저들이 시작했으면 종국에는 모든 회사들이 저리 됩니다. 이유에서 규제 시작하면 수출을 못하게되죠. 발등에 불 떨어진 RE100을 보시면 아실텐데. 삼성전자 해외 공장은 달성했는데 국내공장은 언제 될지 모르죠. 계속 이러다간 국내 생산분은 수출 포기해야합니다. 선진국, 특히 유럽의 환경정책 물로 보면 안됩니다.

KilmerLv 84작성자

다음글에 쓰레기라고 제목이 들어가서 한번만 더 쓰레기 쓰고 않겠습니다. 죄송합니다.

BMW 로고 이미지BENZ 로고 이미지
폴리주Lv 9

생각하는 차량이 연식변경 되면 일체형 디스플레이로 바뀔것 같은데, 그럼 연식변경 전 구매한 차량이 바로 구형되어 감가 등에 영향을 줄거 같아 고민인데, 킬머님 생각이 궁금합니다~

KilmerLv 84작성자

폴리주님께서 연식변경된 차를 구매하신다면 7가지가 더해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1. 가파른 물가상승에 따른 재료 아끼기 2. 빡센 환경규제로 엔진 괴롭히기 3. 소배기량 출력향상 엔진 쥐어짜기 4. 차가 커지는데 연비향상 엔진 또 괴롭히기 5. 해양플라스틱 재활용 증가 6. 첨단 전자편의기능 대거탑재 고장률 증가 7. 독일차라면 더 높아질 중국의존도 따라서 일체형 디스플레이가 멋지고 새롭게 화장 진하게 한 자동차 인테리어가 아무리 좋아도 1년이라도 구형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BMW 로고 이미지BENZ 로고 이미지
폴리주Lv 9

멋진 글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