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콘칲·케챂 원료 바뀌었다"… 전쟁·곡물값 급등 후폭풍

vi

Lv 103

22.07.12

view_cnt

778

러시아와 우크라나이 전쟁 등에 따른 곡물가격 급등으로 식품업체들이 대체 원료를 쓰거나 배합 비율을 바꾸고 있다. 곡물가격 급등과 수급불안을 견디지 못한 탓이다. 11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크라운제과는 대표 스낵 제품인 '크라운 C콘칲' '콘치' 등 13개 제품에 해바라기유 대신 채종유(카놀라유)를 쓰기로 했다. 전세계 해바라기유 수출량의 75% 이상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나오는데 전쟁 영향으로 공급이 부족한데다 가격까지 앙등했기 때문이다. 해바라기유 가격이 한때 지난해말 대비 67%까지 오르기도 했다. 원본보기 서울 내 대형마트에 진열된 과자 모습. /사진= 뉴시스 크라운제과 관계자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일부 국가들의 원재료 수출 금지 조치에 따른 국내 식품 원재료 수급 불안정으로 일부 제품에 대해 대체 원료를 사용하게 됐다"며 " 제품 가격 인상을 하지 않고 포장재 교체 비용 등의 부담을 자체 감내하기로 하면서 내린 결정"이라고 부연했다. 크라운제과는 2019년 이후로 가격을 올리지 않고 있다. 업계에선 대체 원료 투입이 쉬운 일은 아니라고 본다. 맛이 달라질 수 있고 포장재 교체 비용도 들기 때문이다. 크라운제과는 해바라기유를 채종유로 변경해도 맛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합 비율 등을 연구소에서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해바라기유 수급이 안정화되기 전까지는 대체 원료를 쓴다는 게 크라운제과의 방침이다. 원본보기 사진= 오뚜기 홈페이지 오뚜기는 연말까지 '식당용케챂' 9개 품목의 기타과당과 설탕 사용 비율을 바꾼다. 오뚜기 관계자는 "기타과당의 주원료가 옥수수인데 옥수수도 우크라이나에서 많이 생산되다보니 전쟁 여파로 가격이 오르고 수급도 어려워져 원료 배합 비율을 변경하게 됐다"고 말했다. 롯데칠성음료도 같은 이유로 이달 중 '칠성사이다'에 들어가는 기타과당 상당 부분을 설탕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칠성사이다의 배합비와 이에 따른 원재료 변경을 계획 중"이라며 "제품 본연의 맛과 향은 그대로 유지된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해태제과식품도 해바라기유 대신 다른 유지 사용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원료 수급 불안 사태가 지속되는 데 대한 지원책으로 지난 5월부터 포장지 교체 없이 다른 원료를 쓸 수 있게 허가해주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식약처는 포장지에 변경 사항을 표기하지 않는 대신 홈페이지 등으로 공지만 할 수 있도록 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원료 수급 불안정으로 식품제조업체들이 대체 원료 사용이나 원료 사용 배합 비율 변경 등을 문의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며 "당분간 지원방안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공중화장실 에어컨 훔쳐 처갓집에 설치한 공무원

해변 공중화장실 에어컨을 시청 공무원 떼서 훔쳐가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훔친 에어컨을 처갓집에 설치했다고 합니다. 강경모 기자입니다. [기자] 회센터 공중화장실 옆에 화물차 한 대가 멈춰 섭니다. 차량에서 내린 두 남성, 화장실 주변을 분주히 움직입니다. 트럭 짐 칸에 무언가를 싣고 유유히 빠져 나갑니다. 속초시청 소속 공무원 두 명이 화장실에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380
22.07.12
자유주제

20대 남성이 초등생 만나 성추행…룸카페가 불안하다

[앵커] 20대 남성이 채팅으로 만난 초등학생을 데려가 만취가 돼 병원에 갈 정도로 술을 먹였습니다. 경찰이 성추행 여부를 조사하고 있는데요. 미성년자도 쉽게 드나들고, 유사숙박 시설까지 있는 룸카페가 이런 범죄에 악용되고 있습니다. 최승연, 조민기 기자가 차례로 짚어봅니다. [기자] 흰 옷을 입은 남성이 상가 계단을 올라갑니다. 손에는 술병이 든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878
22.07.12
자유주제

“인건비 무서워”…1억 들여 셀프주유소로 전환

앵커] 기름값 폭등에 셀프 주유소가 부쩍 늘었습니다. 좀 귀찮아도 1원이라도 아끼려는 소비자와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주유소가 윈윈이라는데요. 강유현 기자가 현장을 돌아보니 더 늘어날 것 같다고 하네요. 보시겠습니다. [기자] 서울의 한 셀프 주유소. 운전자는 익숙한 듯 혼자 마개를 열고 기름을 넣습니다. [박상정 / 서울 강서구] "느낌적으로도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046
22.07.12
자유주제

물가 대책에도 효과는 '글쎄'...믿을 건 금리 인상뿐?

물가는 24년 만에 6%를 찍었고 정부는 연이어 민생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시장의 반응은 그리 호의적이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기댈 수 있는 건 기준금리 인상인데, 물가를 억제하는 효과만큼 부작용도 커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권남기 기자입니다. [기자] 24년 만의 6%대 물가에 체감 경기를 나타내는 '경제고통지수'는 2008년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1,150
22.07.12
자유주제

부산서 실종된 60대 남성, 이틀 만에 인명구조견에게 발견돼

부산에서 뇌경색을 앓는 60대 남성이 실종 이틀 만에 119인명구조견에 의해 발견됐다. 11일 부산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6시쯤 부산 기장군에 사는 A(60대·남)씨가 산에 약초를 캐러 갔다가 실종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소방당국은 이날 오전 9시쯤 경찰의 협조 요청을 받은 뒤 구조 인력과 인명구조견을 동원해 합동 수색에 나섰다. 종일 이어진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706
22.07.12
자유주제

코로나 확진자 '더블링' 지속…9시까지 3만명·전주 2배

코로나19 확진자가 11일 오후9시 기준 전국에서 3만명이 넘어서며 확산국면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 17개 시도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은 3만 5805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같은 시간 1만 2213명보다 2.9배 증가한 2만 3592명을 기록했다. 주말이 지나면서 검사 건수가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64
22.07.12
자유주제

"'엉따' 한달에 2만4천원 내세요"…이랬다가 혼쭐난 車회사

현대차·GM 등 구독모델 경쟁 기업매출 늘리고 충성도 높여 가격인상 위한 '꼼수' 비판도 BMW 새 구독서비스 공개 열선시트 돈 지불해야 사용 "한국서는 기본옵션 장착" 원본보기 "드라이빙 어시스턴트 플러스(자율주행) 월 5만1000원, 운전석 시트 온열 기능 월 2만4000원, 스티어링 휠 온열 기능 월 1만3000원." 최근 BMW가 홈페이지를 통

vi|22.07.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44
22.07.12
자유주제

서울 35.1도, 한국은 찜통인데…남미는 폭설 내렸다

북반구 국가들에서 기록적인 고온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10일(현지시간) 남아메리카 칠레의 항구도시 발파라이소의 로스 안데스 지역에는 눈보라가 몰아쳤다.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온이 계속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에 따라 인도에선 121년 만에 최고기온을 경신했다. 스페인에서도 최고 40도를 훌쩍 넘는 고온현상이 발생한 바 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41
22.07.12
자유주제

열대야에 에어컨 켜고자는데…야간 전력이 낮보다 비싸다니

지난달 사상 첫 '6월 열대야'가 나타나는 등 일몰 이후 전력 수요가 증가하고 주간보다 야간에 전력 사용량이 더 많은 날이 늘면서 야간 전력 수요 관리에 경고등이 켜지고 있다. 11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통상 전력 수요가 많아 전력도매가격(SMP)이 가장 비싼 시간대(피크타임)는 오후 4~5시다. 과거에는 전력 수요가 많은 오후 2~3시의 SMP가 가장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782
22.07.12
자유주제

"벌써 3명이나 처형했다"…사형 집행하는 일본, 아베 살해범 운명은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를 총으로 쏴 숨지게 한 살해범 야마가미 데쓰야(41)는 어떤 형벌을 받게 될까?. 닛칸 겐다이는 일본이 사형제도가 있는 만큼 야마가미는 사형을 선고 받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고 지난 10일 보도했다. 일본은 선진국 중에서 드물게 아직도 사형을 집행 중인 나라다. 아베 전 총리는 지난 8일 선거 유세 도중 총에 맞아 사망했다.

vi|22.07.12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73
22.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