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성추행 피해 학생 외면하지 않은 대가.. 끝나지 않는 '10년 소송전'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39

김애옥 전 전남도립대 유아교육과 교수(57)는 2013년 학생들이 특정 교수에 의한 성폭력을 호소하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후 대학은 김 전 교수에게 석연찮은 이유로 해임과 재임용 거부 처분을 내렸다. 김 전 교수는 지난 10년간 학교로 돌아가기 위해 교원소청위원회 소청 3번과 5번의 재판을 진행해야 했다. 지난달 30일 대법원은 ‘김 전 교수에 대한 재임용 거부는 위법’이라고 최종 판결했다. 하지만 대학은 아직도 “법률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 전 교수가 학교를 떠난 사이 성추행을 저질러 해임됐던 교수는 법원 판결을 통해 복직했다. 전라남도가 올해에만 127억 원을 지원한 도 산하 대학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다. 전남도립대 유아교육과 학생들은 2013년 6월 A교수의 상습적인 성추행을 참다못해 학과 교수 4명 중 유일한 여성이었던 김 전 교수에게 고충을 털어놨다. 김 전 교수는 피해 사실을 정리하도록 한 뒤 진술서를 학교 측에 전달하며 사태 해결을 요구했다. 하지만 학교는 진상조사 등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았다. 당시 학내 성폭력 문제를 상담하는 대학 인력지원실장은 A교수였다. A교수는 ‘성희롱·성매매 방지대책위원회’ 위원이기도 했다. 학교의 조치가 없자 피해 학생 11명은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냈다. 2014년 5월 인권위는 A교수의 성폭력 행위가 대부분 인정된다는 조사 결과를 내놨다. 인권위는 2014년 5월 대학에 A교수를 중징계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도록 했다. 교수 임명권자인 전남도지사에게도 A씨에 대한 징계가 제대로 이행되도록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도록 권고했다. 대학은 A교수를 해임했지만 2018년 법원 판결로 복직됐다. A교수가 해임된 이후 대학은 김 전 교수를 석연찮은 이유로 해임했다. 유아교육과 다른 교수들이 2015년 1월 “졸업예정자들을 상담하는 과정에서 김 전 교수에 대한 비위행위를 들었다”며 대학에 진상조사위원회 개최를 요청했다.

성추행 피해 학생 외면하지 않은 대가.. 끝나지 않는 '10년 소송전'[플랫]성추행 피해 학생 외면하지 않은 대가.. 끝나지 않는 '10년 소송전'[플랫]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