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빅스텝' 안 했으면 팔렸을까.. 한국은행 소공별관 유찰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986

한국은행이 서울 중구 남대문로의 소공별관 매각에 실패했다. 옛 상업은행 본점 건물이었던 이 건물 공매의 최초 최저 입찰가는 1479억원이었다. 2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20일 한국자산관리공사의 전자자산처분시스템 ‘온비드’에서 진행된 이 건물의 공매는 유찰됐다. 공매 대상은 지하 1층∼지상 13층의 건물과 구분 소유 중인 주차건물 등 총 2동(1만5753.1㎡), 그리고 토지(2372.9㎡)였다. 이 건물은 1965년 12월 옛 상업은행 본점으로 준공됐다. 2004년 리모델링을 거쳐 2005년 3월 한국은행이 사무공간을 확충하기 위해 본관과 마주하고 있는 이 건물을 매수했다. 당시 소공별관 시가는 약 700억원 수준. 한국은행은 회현동 부지와 현금 220억원을 지급하고 이 건물을 매입했다. 한국은행은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통합별관이 내년에 완공되면 소공별관은 공실이 될 것으로 보고 매각을 추진했다. 현재 소공별관은 한은 경제통계국과 외자운용원, 경제연구원 임직원이 쓰고 있다. 기대를 모았던 입찰이었지만 입찰 참여자는 전혀 없었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이 정도 규모가 되는 건물을 매각하려면 기업이 본사로 쓰는 것이 가장 좋지만, 과거 이력상 꺼리는 이들이 많다는 점도 감안된 결과라고 봤다. 이 건물의 최초 주인인 상업은행은 외환위기를 직격타로 맞았다. 1997년 1월 한보그룹을 시작으로 기아, 진로, 해태 등 대기업이 줄줄이 쓰러지면서 상업은행도 빌려준 돈을 회수하지 못해 위기에 빠진 것이다. 결국 상업은행은 이듬해 한일은행과 합병됐고, 한빛은행(현 우리은행)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직원들이 구조조정 당하고, 본점 건물도 매각됐다.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그 이후로도 주인이 네 번이나 바뀌었는데, 그 과정에서 한국은행 소공별관은 풍수지리적으로 나쁜 기운이 돈다는 소문도 많았다”고 했다. 최근 부동산 시장을 감안하면 최초 매각가(1479억)가 다소 높은 수준이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최초 최저 매각가는 3.3㎡당 4억2000만원 수준이다.

'빅스텝' 안 했으면 팔렸을까.. 한국은행 소공별관 유찰'빅스텝' 안 했으면 팔렸을까.. 한국은행 소공별관 유찰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