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이번엔 광섬유 케이블 대란..FT "전 세계 IT업계 비상"

울트라맨8

Lv 116

22.07.25

view_cnt

669

전 세계적으로 광섬유케이블 부족 현상이 빚어져 정보기술(IT)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광섬유케이블의 가격이 상승하고 생산 시간이 지연되자 최첨단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대형 IT 기업들의 계획에도 차질이 생겼다고 24일(현지시간) 전했다. 아마존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은 늘어나는 수요를 위해 데이터센터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각국 정부들도 5세대(5G) 이동통신망 구축을 위해 힘쓰고 있는데, 두 가지 모두 방대한 양의 광섬유 케이블을 땅에 깔아야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시장조사업체 크루그룹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총 케이블 소비량은 전년동기 대비 약 8.1% 늘었다. 전 세계 소비량의 절반에 가까운 46%는 중국이 차지했으며, 북미 지역의 비중은 전년대비 15% 증가하며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자재값이 올랐다. 유럽·인도·중국의 섬유 가격은 지난해 3월 사상 최저치였던 ㎞당 3.7달러에서 현재 6.3달러로 최대 70%까지 상승했다. 광섬유 유리를 제조하는 데 필수적인 원소인 헬륨도 현재 공급이 부족하다. 러시아와 미국의 공장 가동 중단으로 인해 지난 2년간 헬륨 가격은 무려 135% 올랐다. 또다른 핵심 부품인 사염화규소의 가격도 최대 50%까지 상승했다. 세계 최대 광케이블 생산업체인 코닝의 웬델 윅스 최고경영자(CEO)는 "업계에서 이 정도의 물가 상승은 본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윅스 CEO는 정부와 통신업체들, IT 공룡 기업들의 급증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생산을 늘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크루그룹은 북미 지역이 유럽이나 중국, 인도보다 덜 심각한 타격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섬유 가격이 현재 2019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렇게 높아진 가격으로 인해 일부 섬유 제품의 경우 생산까지 걸리는 시간이 크게 증가해 소규모 고객의 경우 제품을 받아보는 데까지 걸리는 기간이 20주에서 거의 1년까지 늘어난 상태다. 마이클 핀치 크루그룹 애널리스트는 "(광섬유케이블) 설치) 비용이 갑자기 두 배로 늘어난 점을 감안할 때 각국이 인프라 구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이것이 글로벌 연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엔 광섬유 케이블 대란..FT '전 세계 IT업계 비상'

이번엔 광섬유 케이블 대란..FT '전 세계 IT업계 비상'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인도 첫 부족민 출신 대통령 취임.."빈민도 꿈 이뤄..내가 증거"

인도의 첫 부족민 출신 대통령 드라우파디 무르무(64)가 25일(현지시간) 취임했다. 무르무 대통령은 이날 수도 뉴델리의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선서하고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그는 취임식에서 "인도의 빈민은 꿈을 꿀 수 있고 이를 실현할 수도 있다"며 "나의 (대통령) 당선이 그 증거"라고 말했다. 무르무 대통령은 "작은 부족민 마을에서 내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7.25
자유주제

내년도 '기준 중위소득' 오늘 첫 회의..결론은 못내

보건복지부는 25일 제67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중생보위)를 열고 2023년도 기준 중위소득과 급여별 선정기준을 심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고 밝혔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으로, 국내 모든 가구를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말한다.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비롯해 12개 부처 76개 복지사업의 수급자 선정기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6
22.07.25
자유주제

한화진 "반도체 규제 완화? 합리적 개선·선진화로 봐야"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25일 반도체 산업 환경 규제 개선과 관련해 "선진화하는 차원에서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 출입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한 장관은 정부가 추진 중인 반도체 산업 전략을 위해 환경 규제를 완화하는 것인가라는 취지 질문에 "규제 완화라는 표현을 쓰고 싶지 않다"며 "규제 완화가 아니라 규제를 합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49
22.07.25
자유주제

새차 구매 후 어떤 차를 남기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떤 차를 남길지 고민이 되어 글을 올립니다. 이전에 부부+아기 1의 패밀리카로 6GT vs X5를 두고 고민글을 올렸었습니다. 감사하게도 많은 분들이 차를 골라주셨는데, 6GT와 X5가 정말 딱 반반이었어요. 6GT가 좀 더 저렴하기도 하고 남편이 SUV보다는 세단의 주행감을 원하여 반세단(?)인 6GT(620d xdrive msp)로 결

새벽향|22.07.25
like-count5
commnet-count9
view-count1,108
22.07.25
자유주제

[오토저널] 빠른 것 같지만 아직은 시간이 필요한 전기차 시대

2021년은 현대자동차의 표현대로 전기차의 원년이라고 할 만했다. 1년 사이 글로벌 플레이어들은 새로 개발한 배터리 전기차의 출시는 물론이고 전기차 관련 전략을 수 차례 수정하는 등 시대의 변화를 감지하게 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았다. 대부분의 완성차회사들은 전기차회사의 전환을 위한 로드맵을 발표했고 그마저도 일년 사이에 더 앞당겨졌다. 전체적인 자동차 시장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868
22.07.25
자유주제

볼트 EUV는 잊어라..주행거리 515km 블레이저 EV 나온다

한국GM이 내년 국내 도입을 고려 중인 전기차 '쉐보레 블레이저 EV'가 이달 중순 북미에서 공개됐다. 블레이저 EV는 내년 여름께 미국 시장에 가장 먼저 선보인다. 한국GM은 현재 한국에 볼트 EV와 볼트 EUV 등 두 종류의 순수전기차를 판매하고 있다. 두 모델은 GM의 1세대 전기차 플랫폼을 사용했다. 이번에 공개한 블레이저 EV는 GM의 최신 전기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75
22.07.25
자유주제

기아 EV9 6500만원대로 내년 출시 예고, 팰리세이드급 전기차

기아 EV9의 가격대와 출시 일정이 공개됐다. 기아 관계자에 따르면 EV9의 시작 가격은 5만달러(약 6500만원)대로 책정될 예정이며, 내년 상반기에 출시된다. EV9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의 대형 SUV로 3열을 갖춘 7인승이다. 완충시 목표 주행거리는 540km다.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869
22.07.25
자유주제

리비안 CEO, 아마존 배송용 EV 공개 후 "2030년 연간 100만 대 전기차 생산"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이 최근 아마존의 배송용 전기차 'EDV-700'을 공개한 이후 2030년 연간 100만 대 전기차 생산 자신감을 나타냈다. 현지시간으로 24일, 로이터 통신 등 외신은 리비안 CEO 알제이 스캐린지 인터뷰를 인용해 이같이 밝히고 그는 "아마존이 대량 주문한 EDV-700을 뒷받침하는 섀시에는 수많은 응용 모델이 있을 것"이라고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67
22.07.25
자유주제

폴스타3 가격부터 공개, 1억원대 대형 SUV

폴스타3의 가격과 사양이 일부 공개됐다. 스페인 자동차 전문매체 Motor.es에 따르면 폴스타 대형 SUV 폴스타3의 가격은 9만2900유로(약 1억2000만원)부터 시작하며, 듀얼 모터 사륜구동이 기본이다. 1회 완충시 주행거리는 WLTP 기준 최대 610km다. 국내에도 출시된다.

GoFoward|22.07.25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60
22.07.25
자유주제

'중국과 안보협정' 태평양 섬나라에 미국고관 수시로 들락날락

미국 정부가 선대의 인연까지 동원하며 남태평양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 시도를 견제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2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과 캐럴라인 케네디 주호주 미국대사가 내달 남태평양 국가인 솔로몬제도를 방문한다. 셔먼 부장관은 8월 6∼9일 솔로몬제도를 찾아 2차 세계대전의 주요 사건 중 하나인 '

울트라맨8|22.07.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9
2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