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폭염 속 코로나 검사에 땀 줄줄"..의료진·검사자 "에어컨이라도"

울트라맨8

Lv 116

22.07.26

view_cnt

881

26일 서울 용산구보건소 선별진료소 앞에서 보건소 소속 30대 한모씨가 하늘색 방호복 속으로 흐르는 땀을 견디며 사람들을 안내하고 있었다. 선별진료소는 오전 9시 문을 열었다가 점심시간 때 소독을 위해 잠시 닫았는데 오후 1시30분 문을 다시 열자마자 금세 40여명이 몰려들었다. 선별진료소에서 1년을 일했다는 한씨는 "바이러스가 확산하기 전 하루 300~400건이던 검사가 최근에는 700건이나 된다"며 "갑자기 확산세로 돌아서는 바람에 선별진료소를 찾는 사람이 급증했는데 기온마저 올라 근무자들이 지친 상태"라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코로나 팬데믹이 3년째 이어져 예산도 많이 썼을 텐데 이곳이 너무 덥다"며 "더위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이 따로 있을지 의문"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하루 검사건수 약 10만건…폭염속 냉방기와 선풍기도 무용지물 25일 확진자가 97일만에 가장 많은 9만9327명을 기록하면서 재유행이 현실화하고 있다. 이에 서울역 광장을 포함해 문을 닫았던 임시 선별진료소가 다시 열었고 검사받는 시민도 증가했다. 25일 전국 선별진료소에서는 19만991건의 검사가 이뤄졌는데 이는 전날(4만9744건)보다 4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검사자와 의료진을 더욱 힘들게 하는 것은 폭염이다. 이날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가 내려졌는데 선별진료소 대부분이 실외에 있어 검사를 받으러온 시민과 의료진이 뙤약볕 아래서 땀을 뻘뻘 흘렸다. 냉풍기와 선풍기가 돌아가는 가운데 목에 두른 넥쿨러로 무더위를 견디는 종로구보건소 선별진료소의 이모씨(52)는 "35도 이상 올라가면 바닥에 물을 뿌려 열기를 식힌다"면서도 "냉풍기와 선풍기로는 더위를 식히는데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이씨는 하루종일 폭염에 노출돼 일하지만 쉬는 시간이 점심시간을 포함해 두 시간도 채 되지 않는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그는 "검사를 받는 사람이나 의료진을 위해 에어컨이라도 설치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울역 광장 임시 검사선별소에서 일하는 20대 남성도 "실내에서 일하면 시원하겠지만 이렇게 실외에서 일하면 더위 때문에 업무 속도가 느려진다"며 "땀이 나고 힘들지만 검사받으려는 사람이 많아 더위를 이겨가며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검사를 받으러 온 사람들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이날 오후 1시쯤 미니 선풍기 하나를 들고 용산구 보건소에 검사받으러 온 30대 남성 오모씨는 "오래 기다리진 않았지만 벌써 땀이 난다"며 "이렇게 더운데 방호복을 입고 일하는 사람들은 오죽하겠냐"며 선별소 관계자들을 걱정했다.
'폭염 속 코로나 검사에 땀 줄줄'..의료진·검사자 '에어컨이라도'

'폭염 속 코로나 검사에 땀 줄줄'..의료진·검사자 '에어컨이라도'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범사련 "김태우 수사관 무죄 선고 내려야"

시민단체 범시민사회단체연합(범사련)이 전 청와대 특별감찰반 수사관 김태우 서울 강서구청장의 공익 제보 사건에 대해 무죄 판결을 요청하는 탄원서를 수원지방법원에 제출했다. 문재인 청와대의 고발에 따라 비밀누설 혐의로 기소된 김 구청장은 지난해 1월 1심에서 징역1년 집행유예 2년을 받은 뒤 항소했고, 검찰은 2심에서 징역 2년6월을 선고해 달라고 재판장에게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40
22.07.26
자유주제

OTP 훔치고 허위공문..8년간 700억 '꿀꺽'

금융감독원 검사 결과 우리은행 직원의 횡령 금액은 8년간 700억원에 육박했으며 범죄 과정에서 은행 내부 통제에도 큰 구멍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직원은 팀장이 자리를 비웠을 때 OTP(일회용 비밀번호 생성기)를 도용해 무단 결재하고 외부 공문을 거짓으로 만들어 은행장 직인을 요청한 후 이를 출금에 이용하는 식으로 주도면밀하게 범죄를 저질렀다. 범행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88
22.07.26
자유주제

감사원 "성남시 '무쓸모' 땅 받아 291억 손실"..공무원 3명 등 경찰 수사

경찰이 2015년 이재명 성남시장 시절 진행된 백현동 개발 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 성남시 공무원과 성남도시개발공사(이하 도개공) 임원 등의 업무상 배임 혐의를 수사하고 있다. 이는 지난 4월 감사원의 수사 의뢰에 따른 것이다. 당시 관련 업무를 했던 시 공무원들이 수사 대상에 오르면서 당 대표 경선 출마를 앞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사법 리스크’에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1
22.07.26
자유주제

노동 경직성·과도한 법인세..투자 순유출 규모 403조 달해

한국의 투자 유출 수준이 경쟁국보다 높은 데 대해 경영계는 협소한 내수시장, 지정학적 리스크 등 요인과 함께 과도한 시장규제, 경직적 노동시장, 취약한 조세 경쟁력을 꼽는다. 2000~2021년 투자 순유출액(해외직접투자-외국인직접투자)이 403조원(3015억달러)에 달할 정도로 불균형이 심한 데는 구조적인 한계도 있지만 스스로 경영환경을 옥죈 탓도 크다는

울트라맨8|22.07.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9
22.07.26
자유주제

테슬라, 기본 커넥티비티 서비스 유료화..'구매 후 8년 무료'

테슬라가 무료로 제공하던 기본 커텍티비티 서비스를 유료 서비스로 변경했다. 오토블로그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20일은 테슬라 무료 커넥티비티 서비스 등록 마감일이었으며 이제부터 차량을 구매하는 사람들은 최초 8년간만 무료 서비스가 제공되고, 이후에는 매월 또는 연간 구독료를 지불해야 한다. 해당 서비스는 테슬라가 제공하는 두 가지 커넥티비티 서비스 중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689
22.07.26
자유주제

[현장] 18시간 째 충전중?..환경부, 전기차 충전기 관리 부실 여전

한국전력,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에 이어 환경부 공공 급속 충전기 관리 상태가 엉망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치된 지 1년밖에 되지 않은 충전기가 차량과의 통신 문제를 일으키는 한편, 제대로 된 충전현황을 보여주지 못하는 충전기도 있었다. 또 쓰레기 분리수거장 바로 앞에 신설된 환경부 급속 충전기도 보였다. 26일 메르세데스-벤츠 EQB 전기차를 이끌고 서울 서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900
22.07.26
자유주제

韓·美·中 격전지 된 일본 전기차 시장.."역전 노릴 호기"

'수입차의 무덤'으로 불리는 일본 자동차 시장이 각국 완성차업계의 전기차 격전지가 됐다. 한국 현대자동차부터, 미국 테슬라, 일본 자국 브랜드를 비롯해 중국 비야디(BYD)까지 일본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섰다. 26일 외신 등에 따르면 BYD는 지난 21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중국 완성차업체가 일본 시장에 진출한 건 BY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867
22.07.26
자유주제

S60·CT5 대신 엠블라·리릭.. 전기차는 이름도 다르네

SM5′나 ‘K5′처럼 브랜드명에 차급을 나타내는 숫자를 조합한 알파뉴메릭(alphanumeric) 방식은 신차 이름을 작명하는 공식으로 통한다. 수입차는 예전부터 애용했고, 국산차는 1998년 삼성자동차의 ‘SM5′를 시작으로 현대차(005380) ‘i30′, 제네시스 ‘G90′, 기아(000270) ‘K5′ 등이 연달아 알파뉴메릭을 도입했다. 전기차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867
22.07.26
자유주제

[마켓프로] 초고수들, '팔백슬라' 회복한 테슬라 담았다

투자수익률 상위 1%의 주식 초고수들은 두 달 만에 주당 800달러선을 회복한 테슬라(805.30 -1.40%)를 대거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미래에셋 엠클럽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계좌로 주식을 거래하는 수익률 상위 1% 고수들은 간밤 해외 주식시장에서 미국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와 나스닥100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프로셰어즈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231
22.07.26
자유주제

전기차 장밋빛 전망과 제조사의 주름

글로벌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배터리값이 오르면서 완성차 업체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배터리 가격은 2018년 ㎾h당 24만9000원에서 지난해 20만6000원으로 내려갔다가 올해 22만2000원으로 반등했다. 2024년에는 23만5000원에 달할 전망이다. 내연기관차와 경쟁할 수 있는 가격인 ㎾h당 100달러(약 13만원) 아래로

GoFoward|22.07.26
like-count1
commnet-count2
view-count1,205
22.07.26